광고
광고
광고
광고

[소방청 국감] 박완주 "화학사고 대응 위해 특채 늘리고 미국처럼 역량 높여야“

전국 유해화학물질 1만7544개 달하지만 사고 대응 전문인력 부족해

광고
최영 기자 | 기사입력 2020/10/14 [22:23]

[소방청 국감] 박완주 "화학사고 대응 위해 특채 늘리고 미국처럼 역량 높여야“

전국 유해화학물질 1만7544개 달하지만 사고 대응 전문인력 부족해

최영 기자 | 입력 : 2020/10/14 [22:23]

▲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질의를 하고 있다.  © 최누리 기자


[FPN 최영 기자] = 화학 사고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 전문인력의 특채를 늘리고 미국처럼 위험한 모든 물질사고에 대응하는 전문 자격증 제도를 운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충남 천안시을)은 13일 열린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우리나라 화학사고 대응 체계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박완주 의원에 따르면 전국에 등록된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은 1만7544개로 각 지역에서 연이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올해 7월 인천 SK케미칼 폭발사고 때는 과산화수소가 누출됐지만 소방이 방화복을 입고 대응했고 옷을 벗겨주다 다치는 사고까지 있었다.


박 의원은 "이 사고를 계기로 화학물질 관련 사고 발생 시 화학 특채자를 현장 활동 시 활용하자는 결론을 냈다"며 "그런데 전문 화학특채 현황을 보면 아주 소수이고 충남, 창원, 광주는 아예 없다"고 말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소방의 전국 화학분야 특채자는 104명으로 중앙구조본부 19명, 전남 19명, 서울 14명, 충북 10명 순으로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전북, 경남, 제주는 화학 특채자가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


게다가 화학 특채자는 화학 관련 자격증 소지자와 화학전공자가 관련 분야에서 2년 경력이 있으면 채용하는 상황으로 실제 화학사고 현장에서 전문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사고현장처럼 방화복을 입고가는 21세기답지 않은 대응을 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화학특채를 더 고용하는 게 중요하다"며 "화학물질 대응을 통한 일반 국민의 생명도 중요하지만 현장대응을 위한 소방관의 생명도 중요하다"고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박 의원은 늘어나는 화학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매뉴얼을 개선해야 한다는 주문도 내놨다. 박 의원은 "화학사고 출동 현황을 보면 해마다 2~300건씩 출동하고 있고 10년간 독성가스 유출 사고도 47건에 달한다"며 "화학사고 시 소방에선 인명구조와 화재진압을 하는데 119가지 물질 대응방안만 가진 실정"이라고 밝혔다.


박완주 의원 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위험한 모든 물질사고에 대응하는 전문 자격증 제도를 운용해 위험 물질 대응 전문가를 양성한다. 위험 물질사고 현장지휘관, 위험 물질 안전담당관 등 현장에서의 역할을 세세히 나눠 관련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문호 청장은 "합동방재센터는 특채자로 구성돼 있고 119종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화학사고"라며 "2만, 3만 가지 책자를 만들어내면 안 보니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보라고 얇게 만든 책자이고 지자체별로 관할 유해화학물질 대응요령을 책자로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자체 소방의 대응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인력 채용과 매뉴얼을 꼼꼼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최영 기자 young@fpn119.co.kr

 

 

[인터뷰]
[인터뷰] 옥동석 소방산업공제조합 이사장 “소방산업 대표 보증기관으로 위상 공고히 하겠다”
1/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