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화재 인명피해 없도록”… 소방청, 전국 공동주택 방화문 살핀다이달 말까지 방화문에 고정장치 사용ㆍ적치 여부 등 점검
[FPN 박준호 기자] = 소방청(청장 남화영)이 전국 아파트 방화문 유지관리 실태를 일제 점검한다.
지난해 12월 서울 도봉구 방학동의 한 아파트 3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10층 주민이 11층 계단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고 4층 주민이 1층으로 추락해 숨졌다.
지난해 3월엔 수원의 한 아파트 1층에서 불이 났다. 연기가 상층부로 급속도로 확산해 10층 주민이 목숨을 잃었다. 모두 방화문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고였다.
이에 소방청은 방화문 중요성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과 아파트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달 말까지 전국 아파트의 방화문을 점검키로 했다.
‘우리 아파트 대피계획 세우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전국 소방서가 동시에 진행하는 이번 점검은 공동주택 중 계단실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다.
소방청에 따르면 계단실 아파트는 화재 시 굴뚝효과로 유독가스가 빠르게 확산해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전국 소방서는 ▲방화문 자동폐쇄 및 폐쇄 제한(고정장치 사용 등) 여부 등 방화문 유지ㆍ관리실태 점검 ▲방화문 훼손 및 장애물 적치 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살핀다. ‘우리 아파트 대피계획 세우기 캠페인’과 관련한 안전 컨설팅도 제공한다.
소방청은 점검결과 장애물 제거 등 현장에서 시정할 수 있는 부분은 즉시 조치하고 성능이 불량한 방화문은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통보해 신속하게 보완할 수 있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임원섭 화재예방국장은 “국민 최대 주거공간인 아파트의 구조적ㆍ환경적 특성을 고려해 더욱 강화된 화재안전대책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며 “나와 가족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평소 입주민과 관리사무소 관계인 등 국민 모두 스스로 방화문 닫기를 생활화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