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제2의 아리셀 화재 없도록’… 고용부, 소화설비 등 구매 비용 지원

오는 31일까지 신청… 소규모 사업장, 리튬 제조ㆍ취급 사업장 등 대상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4/07/19 [11:20]

‘제2의 아리셀 화재 없도록’… 고용부, 소화설비 등 구매 비용 지원

오는 31일까지 신청… 소규모 사업장, 리튬 제조ㆍ취급 사업장 등 대상

최누리 기자 | 입력 : 2024/07/19 [11:20]

▲ 지난달 24일 화성시에 소재한 리튬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에서 불이 나 23명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FPN

 

[FPN 최누리 기자] = 정부가 화성 아리셀 화재 재발을 막기 위해 50억윈의 예산을 긴급 투입한다.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 이하 고용부)는 전지 취급 사업장 등의 화재 예방을 위해 ‘긴급 안전 지원조치’를 시행한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달 말부터 전지 취급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현장점검ㆍ지도를 진행했고 이를 토대로 현장에 필요한 사항을 반영해 이번 조치를 마련했다.

 

먼저 50억원 규모 예산을 투입해 배터리 화재용 소화기 등 소화설비와 경보ㆍ대피설비 구입 비용을 긴급 지원한다. 고용부에 따르면 화재 시 신속한 초기 진화와 대피가 중요하지만 배터리 등의 경우 일반 소화기로는 진화가 어렵다.

 

지원대상은 50인 미만 사업장이나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소기업 중 리튬 등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대상 물질 제조ㆍ취급 사업장, 일차ㆍ이차 전지 관련 사업장 등이다.

 

사업장당 최대 3천만원까지 70% 범위에서 지원하며 오는 31일까지 신청을 접수받아 심사를 거쳐 지원 사업장을 신속히 선정할 계획이다.

 

고용부는 16개국 언어로 번역된 화재 시 행동 요령 포스터와 비상구ㆍ화기 금지 등 안전보건표지 스티커도 외국인 고용 사업장에 배포한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 등이 화재 시 행동 요령을 평소 숙지하고 비상 상황에서 직관적으로 비상구 등을 찾아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입국 후 2박3일 취업 교육 과정에 화재 등 재난 상황에 대비한 소방 대피 훈련을 포함하기로 했다.

 

아울러 16개 송출국에 입국 전 사전 근로자 교육 수행 시 안전보건 교육을 3시간 이상 확대할 것을 권고했고 재직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에도 안전보건교육을 포함하도록 조치했다.

 

이 밖에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해 안전보건교육을 확대하는 방안을 ‘외국인 근로자 산업안전 강화 대책’에 포함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정식 장관은 “전지 사업장에선 안전을 재점검해 비상구의 설치ㆍ유지와 적정 소화설비 구비, 안전보건표지 부착 등 시급한 과제들을 우선 실천해 달라”며 “정부는 사업장의 개선 노력을 면밀하게 지도ㆍ지원하면서 현장과 전문가, 협ㆍ단체 등의 의견을 반영한 유사 사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광고
[인터뷰]
[인터뷰] 김정섭 한국소방시설협회 인천시회장 “지역 소방업체 하도급률 향상 위해 주력”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