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미인증 비상소화장치 140개, 교체는 했지만…

250개 추가 설치는 ‘깜깜’… 해 넘긴 일정에 속 타는 안전협회

광고
이재홍 기자 | 기사입력 2016/12/09 [11:24]

미인증 비상소화장치 140개, 교체는 했지만…

250개 추가 설치는 ‘깜깜’… 해 넘긴 일정에 속 타는 안전협회

이재홍 기자 | 입력 : 2016/12/09 [11:24]
▲ 지난해 KFI인증을 받지 않은 채 납품, 시공됐던 비상소화장치함의 교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 진선미 의원실 제공


[FPN 이재홍 기자] = 올해 국정감사에서 지적됐던 미인증 비상소화장치(관련기사 - [국감 속 이슈] 24억 비상소화장치 사업, 미인증품으로 ‘얼룩’)의 교체가 완료됐지만 올해 추가 보급 계획에는 차질이 빚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안전행정위원회, 서울 강동구갑)은 지난달 21일 자로 국민안전처(이하 안전처)와 한국소방안전협회(이하 안전협회)가 삼성화재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2015년에 설치했던 미인증 비상소화장치 교체가 완료됐다고 밝혔다.

 

진선미 의원실과 안전협회에 따르면 미인증 비상소화장치 교체는 지난 9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총 73일간 진행됐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36개, 충청권(대전, 세종, 강원, 충북, 충남) 36개, 영남권(대구, 울산, 경남, 창원) 24개, 호남권(광주, 전북, 전남, 제주) 44개 등 총 140개 소화장치의 소화전함 교체가 이뤄졌다.


하지만 지난해 설치했던 비상소화장치에 대한 실태 조사와 교체 작업에 올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면서 추가 보급계획에는 큰 차질이 생겼다. 당초 안전처와 안전협회는 올해 8월까지 총 250개의 비상소화장치 보급을 추가 완료한다는 방침을 세웠었다.


2년간 24억4,200만원을 들여 총 390개의 소화장치를 보급할 계획이었지만 전국 화재취약지구 대상 또는 소방차량 접근 불가 지역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위해 추진되는 비상소화장치 사업에 제동이 걸린 셈이다. 보급 이후에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활용 교육을 실시한다는 밑그림도 그리고 있었다.


올해 계획됐던 비상소화장치의 추가 설치 시점에 대해 안전협회 측은 앞날을 가늠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안전협회 관계자는 “내년 초 비상소화장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나와봐야 알 수 있을 것 같다”며 “그 전까지는 확답이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 비상소화장치는 전체적인 완제품에 대한 제품 성능 기준이 부재한 상태다. 그런데도 미인증 논란이 야기된 것은 성능인증을 받지 않은 소화전함이 문제가 됐기 때문이다. 국민안전처는 활용도가 높아지는 비상소화화장치함의 전체적인 성능확보를 위한 별도의 제품 성능 기준 정립을 추진 중이다. 이 기준이 나와야 정상적인 보급사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안전협회 측 시각이다.


일각에서는 뒤늦게 비상소화장치에 대한 기준 정립을 추진하는 국민안전처를 두고 비판도 나오고 있다. 전국 소방관서는 물론 문화재 등에서 근 4~5년 새 급격하게 확대 보급돼 온 비상소화장치의 규격 등을 미리 정립하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해 왔다는 이유에서다. 비상소화장치함에 적용되는 소화전함의 미인증 논란이 불거진 이유 중 하나가 수요기관이 개별적으로 시방서를 정립해 운영해온 탓도 있다는 분석이다.


이렇다 보니 자칫 소방 분야에 대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자체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설치될 제품의 기준조차 정립하지 않은 주무부처와 관리ㆍ감독에 소홀했던 산하단체, 소방관서까지 어우러져 분야의 행정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렸다는 지적이다.  

 

이재홍 기자 hong@fpn119.co.kr

[인터뷰]
[인터뷰] “다양한 경험ㆍ조직 이해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 물결 만들겠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