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7.16.~7.20. 호우 대처상황 ※ 호우 위기경보 ‘심각’→‘주의’ 하향, 중대본 비상근무 해제 및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가동(7.20. 18:00) - 인명피해(21시잠정): 27-1명(사망 18+1*, 실종 9-2**) * 광주 1(북구 1), 경기 4(오산 1, 가평 2, 포천 1), 충남 3(서산 2, 당진 1), 경남 10(산청 10) ** 광주 1(북구 1), 경기 4(가평 4), 경남 4(산청 4)※ 실종 1명 사망으로 확인(경기 포천), 실종 1명은 중복 집계, 추가 인명피해 현황은 현장 구조‧구급 중으로 변동될 수 있음 - 시설피해(18시잠정): 공공시설 1,999건* / 사유시설 2,238건** * 도로 침수 778, 토사유실 197, 하천시설 붕괴 403 등 ** 건축물 침수 1,857, 농경지 침수 73 등※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운영 중으로 시설피해 현황 지속 파악 예정 - 대피현황(21시잠정):15개 시‧도, 9,887세대 14,166명(미귀가 12개 시‧도,1,404세대 2,653명*) * (서울) 16세대 30명 (부산) 1세대 3명 (광주) 33세대 47명 (울산) 1세대 2명 (경기) 134세대 860명 (충북) 2세대 3명 (충남) 451세대 658명 (전북) 7세대 10명 (전남) 50세대 88명 (경북) 19세대 22명 (경남) 689세대 929명 (강원) 1세대 1명 ※ 임시주거시설 1,321세대 2,523명, 친인척집 등 83세대 130명 - 통제상황(05시): (국립공원) 12개 공원 180개 구간(무등산 61 등) * 호우에따른안전점검 조치사항:(중대본‧행안부) 7.16~18.집중호우대처상황점검회의*(대통령,7.18.), 중대본부장(5회, 7.16.~7.20.) 및재난안전관리본부장(5회, 7.16.~7.20.) 대처상황 점검회의, 국무총리 현장점검(광주광역시, 7.20.), 중대본부장 현장점검(충남. 7.20.) *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며,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정부의 모든 역량을 동원하여 총력 대응할 것 - 호우특보 해제에 따른 중대본부장 지시사항 전파*(공문, 7.20.), 산사태 위험에 따른 중대본부장 지시사항 전파(공문, 7.19.), 중대본3단계격상 및 중대본부장 지시사항전파(7.17.) * 이재민이 조속히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응급복구에 총력, 감염병 예방 활동에 만전, 하천‧계곡 등에 대한 예찰활동 강화 및 국민행동요령 적극 홍보 - 경남 지역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7.21.~, 32개 기관), 호우 피해지역 가전제품 무상수리팀 운영(7.20.~), 현장상황관리관 파견(14개반 28명, 7.17~), 재난특교세(25억원)긴급지원(경기‧충남, 7.17.), 호우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 (농식품부)호우피해농가 현장점검(장관,7.20.), 호우 지역 배수장 가동 및저수지 사전 방류, 농업인 단계별 행동요령 안내(SMS, TV자막) 등(환경부)호우대처상황점검회의(차관,7.20.),홍수정보제공 및특보발령등(산림청) 산사태 피해지 긴급 현장점검(청장, 7.20.), 산사태 위기경보 발령 등(소방청) 호우관련 소방 활동(인명구조 391건, 급‧배수지원 547건, 안전조치 7,899건)(경찰청) 초동대응팀등출동대비태세유지, 취약지역 예방 순찰 실시등(지자체) 비상근무, 인명피해 우려지역(산사태취약지역,급경사지등) 예찰 활동 및 홍보(재난문자, 전광판, SMS등)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경계’(6.30.~) - 인명피해(7.19.):온열질환 6명(사망 없음)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7.19.): (’25년) 온열질환 1,591명(사망 9)/ (전년 동기) 608명(사망 3) / 조기 감시기간(‘25.5.15~5.19.) 16명 - 재산피해(7.17.):가축폐사 없음 * 신고 접수 기준으로 사고조사 진행에 따라 변동 가능※ 누계(5.20~7.17.): 910,262마리(돼지38,955,가금871,307) / 전년동기54,130마리(돼지 5,467, 가금 48,663) - 조치사항: (행안부) 폭염 대비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7.20.), 폭염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 폭염특보에 따른 예방활동철저지시(NDMS)
▲ 7.21.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8~19시)에 최대 87.3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 106.1GW → 공급예비력 18.8GW(21.5%), 운영예비력 9.3GW(10.7%)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주요 사고 (사업장사고) 7.20. 11:31경/경남 창원시 연도동/부산신항 인근 해상에서 컨테이너 선박(52,581톤)의 하부 청소작업 중에 다이버 3명이 공기공급 이상(공기공급 호스가 엉킨 것으로 추정)으로 익수/사망 2명, 중상1명(호흡 없음, 맥박 있음) (안전사고) 7.20. 15:56경/강원 속초시 설악동/설악산 케이블카 유압호스 고장으로 상․하행선 멈춤(약 2시간) 발생(정상 정류장 167명, 상행선 42명, 하행선 47명 고립) ※ 인명피해 없음 / 고장 케이블카 수리 완료(16:25~19:50), 정상 정류장 및 탑승객 하산 완료(20:28)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2회(항공배치1, 산악구조8, 수색구조1, 화물이송1, 행정지원1) / 45명(구조39, 지원6) ❖구급상황관리: 4,608회(의료지도 288, 대국민상담.지도 4,188, 이송병원선정 115, 헬기 9, 재외국민 8) ❖생활안전조치: 2,229회(동물처리 259, 비화재보확인 603, 잠금장치개방 50, 안전조치 136, 기타 1,181)
◇ 화재진압 ▲ (주 택) 서울 강서구 화곡동『○○빌 』 - 08:45~09:09, 거실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내부 15㎡ 및 집기류 소실
▲ (창 고) 충북 보은군『○○창고』 - 10:49~11:17, 전동 분무기 배터리 충전 중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경상 1명
▲ (복합건출물화재) 경기 평택시『○○건물』 - 16:19~16:48, 원인 미상의 화재, 실외기실 및 내부 60㎡ 소실 등
▲ (숙박시설) 부산 해운대구『○○호텔』 - 18:50~19:04, 화기 취급 부주의 추정 화재, 경상 3명, 천장 등 10㎡ 소실 등
◇ 구조/구급 ▲ (수난사고) 경남 창원시『○○바다』 - 11:31~12:34, 다이버들이 배 밑에서 작업 중 공기 연결관 꼬임 추정, 사상 3명(사망 2, 중상 1)
▲ (수난사고) 경기 포천시『○○계곡』 - 14:25~21:55, 식당 손님으로 놀러 왔다가 급류에 휩쓸림, 사망 1명
▲ (수난사고) 부산 해운대구『○○바다』 - 16:30~16:41, 바다에 사람이 등을 보이고 떠있다는 신고, 사망 1명
7월 21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