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대원들도 그 중 하나이다. 평소에도 눈 코 뜰 새 없이 바쁘지만 이런 명절기간에는 ‘특별경계근무’라 하여 손발이 열개여도 부족하다는 말이 실감나게 한다. 단순한 문 잠김 사고부터 각종 상해사고, 교통사고 등 하루가 출동이라고 단정 지어도 과언이 아닐 듯싶다. 이렇게 여러 출동을 하다보면 모든 피곤을 잊게 하는 기분 좋은 출동이 있는 반면에 우리 대원뿐만이 아닌 주변 사람 모두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사고도 빠지지 않고 발생한다. 해마다 일어나는 안타깝고 또한 근절되어야 할 사건사고 중에 가족끼리의 불화에서 비롯된 사례가 많다. 작년에 나갔던 출동 중, 부모님이 경작하는 얼마 되지 않는 그 작은 땅을 차지하기 위해 자식간에 칼부림이 벌어졌고 노부부는 담벼락 밑에서 떨고 있던 기억이 떠오른다. 자식을 위해 뼈마디 깎이며 일하시는 그 땅 조차 서로 갖지 못해 안달하는 자식들을 보는 부모의 심정은 오죽했을까. 만물의 영장인 인간의 행동이라기에는 너무 야비하고 파렴치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런 사고 외에도, 가족간의 열등감과 경쟁심이 불러온 사고도 종종 일어난다. 취기와 함께 어우러져 그러한 감정은 서로 간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입히게 된다. 이렇기 때문에 설이나 추석후에 노인들의 약물음독사고가 유독히 많이 생기는지 하는 의문마저 든다. 이러한 사고와는 달리, 가족간의 사랑이 넘쳐나는 모습을 보는 경우도 있다. 오랜만에 모인 자식들이 부모를 위해 농기구를 수리하고 농사일을 도우다가 다치는 경우가 그 일례인데, 이러한 현장에는 정말 가족애가 흐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사고 현장이지만 웃음을 잃지 않는 자식의 모습과 그런 자식을 보는 부모의 사랑이 담긴 얼굴, 그 옆에서 이러한 광경을 보며 많은 것을 배울 아이들을 보면 참다운 가족을 생각게 한다. 이렇게 출동 중 겪는 사례만 비교해보아도 우리는 자식 된 도리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세상에 그 어떤 금은보화로도 대신할 수 없는 것이 부모님의 사랑이며 갚을 수 없는 것이 그 은혜이다. 가장 큰 효도는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부모님께 자주 모습을 보이고 소식을 전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으나 그렇지 못한다면 이렇게 한번쯤 모인자리에서 무얼 해야 할지는 명확하다. 우리의 부모님은 큰 재물을 바라는 것도 자식의 성공을 바라는 것도 아니다. 그저 잘 지낸다는 모습과 건강하다는 것만 보여 드리면 되는 것이다. 민족의 대 명절에 고향으로 향하기 전 한번쯤 생각해보자. 고향 가는 길에 결코 길지 않은 3일이라는 시간 동안 부모를 위해 가족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떠올려보자. 밀리고 막혀도 피로하지 않는 소중한 시간이 될 것이다. 또한 우리 119 대원들도 훈훈한 감동에 힘입고, 용기를 얻어 기꺼운 마음의 봉사를 할 수 있는 명절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