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월 6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2/11/06 [09:01]

11월 6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2/11/06 [09:01]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용산구 이태원 사고 대처상황    ※ 중대본 가동(10.30.02:30, 본부장 국무총리)

- 사고개요 : 10.29. 22:15경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핼러윈 인파가 해밀턴 호텔 인접 좁은 골목으로 밀려들면서 사고 발생          ※ 사고경위 조사 중

  피해현황(11.5. 23시 기준) : 사상 353명(사망 156*, 부상 197**)

     * 내국인 130명, 외국인 26명 / 발인·송환 완료 146명(내국인 129, 외국인 17)

     ** 중상 33명, 경상 164명 / 부상자 197명 중 입원 24명, 귀가 173명

- 조치사항 : (중대본) ① 본부장 주재 중대본 회의 개최(11.5.)

     ※ 피해 신고기간 연장(11.8. → 11.15.), 피해신고 접수 방법 변경(주소지 → 전국, 접수 후 주소지 통보)

   ② 원스톱 통합지원센터* 설치 예정(준비단 11.7.~/ 운영 11.9.~)

     * 센터장(총리실 국장급), 4팀(행안부, 복지부, 서울시 등 팀별 4~5명 파견)

     ※ 장례, 치료, 구호금 등 지원사항 통합관리(요구 접수 → 관계기관 통보 → 조치 확인 → 결과 통보‧설명 / 외국인은 외교부에서 별도 지원) 및 원스톱 처리

   (행안부) 다중 밀집 인파사고 예방 안전관리 대책 마련 TF운영(11.3.~)

     ※ 주최자 없는 축제·행사 안전관리지침 제정, 인파사고 교육·안전문화 확산, 위험예측·감시 체계 기술개발 등

   (복지부) 마음안심버스 운영, 트라우마 치료 등 심리지원

     ※ 마음안심버스 심리상담 162건(10.30.~11.4.)/트라우마 치료 심리상담 1,722건, 정보제공 1,883건 등(11.4.)

   (문체부) 다중(운집) 시설·장소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 실시(11.10.~12.9.)

     ※ 지역축제(행안부·문체부), 공연장·경기장 안전관리 체계 및 시설물 이상 유무 등

- 향후계획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11.6.), 사고 피해수습 지원,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따른 후속조치 추진

 

 코로나19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20.2.23.~)

- 발생현황(11.5.0시) : (신규사망) 41명전일6↑ (재원 위중증) 314명전일10↑

   (신규입원) 171명전일50↓ (신규확진) 40,903명전일2,546↓/전주3,591↑(국내40,846*, 해외57)

     ※ 누계 : 사망 29,354명(치명률 0.11%), 확진 25,801,564명 / * 수도권 22,267명, 비수도권 18,579명

- 예방접종(11.4.0시) : 5,631명(1차193, 2차242, 3차2,145, 4차3,051)

     ※ 누계 : 1차45,121,967명(인구대비87.9%), 2차44,691,950명(인구대비87.1%), 3차33,663,716명(대상자대비75.4%), 4차7,552,314명(대상자대비38.2%)

- 조치사항 : (교육부) 수능 시행 전 학원 특별방역점검 추진

     ※ 전국 입시학원 등을 대상으로 특별방역점검을 실시하여,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점검하고 방역 준수사항 이행 적극 유도

   (문체부) 2022 게임문화제(11.6.~11.30.) 방역 및 안전관리 대책 추진

     ※ (방역) 발열 등 환자 발생 시 의료진 투입, 관람객 개인위생 관리 철저 권유 등(안전) 안전관리책임자 지정, 밀집구역 발생 예상 시 안전요원 추가 배치, 응급상황 시 대피동선 확보 등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11.5.) : 양돈 및 야생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 양돈27건(경기11, 강원11, 인천5), 야생멧돼지2,684건(강원1,686, 경기674, 충북261, 경북63)

- 조치사항 : (지자체) 방역시설 미설치 농장이 조속히 설치를 완료할 수 있도록 방역조치 사항 집중점검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2.10.12.~)

- 발생현황(11.5.) : (가금) 3건*(청주 2, 순창 1) (야생조류) 없음

     * 충북 청주시 북이면 육계(55,000수) / 예방적 살처분 대상(반경 500m 이내) 없음충북 청주시 북이면 육용오리(13,200수) / 예방적 살처분 대상(반경 1㎞ 이내) 3호 37,400수전북 순창군 유등면 산란계(154,000수) / 예방적 살처분 대상(반경 500m 이내) 1호 114,000수

     ※ 확진(누계) : 가금7+3건(충북4+2, 경북2, 전북1+1), 야생조류10건(경기2, 충북2, 전북2, 경남2, 인천1, 충남1)

- 조치사항 : (행안부) 지자체 상황전파 및 지속적 모니터링 실시 등

   (방역본부) 방역상황(해당농장·인근지역) 점검, 긴급 역학조사 등

   (지자체) 예방적 살처분, 방역대 및 동일계열 일제검사 등

 

 주요사고

- (교통사고) 11:16경/전북 완주군 상관면/순천완주고속도로(슬치터널내, 순천방향)에서 전방주시 태만(추정)으로 승용차 4대 추돌/경상 6명

- (화재) ① 18:06경/경북 김천시 대덕면/단독주택(1/0층, 92㎡)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9:51)/경상 3명, 건물(92㎡) 전소 등

   ② 19:52경/서울 노원구 상계동/다가구주택(2/1층, 170㎡) 지하(주택)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20:18)/중상 1명, 건물(18㎡) 소실 등

   ③ 20:25경/경남 창원시 양덕동/아파트(30/2층, 14,022㎡) 15층 복도 배전반에서 전기적 요인(추정)으로 화재(완진 20:59)/인명피해 없음, 배전반(전기시설) 등 소실            ※ 단순 연기흡입 10명, 대피 100여 명

- (철도사고) 20:25경/경기 의왕시 이동/오봉역에서 화물열차 연결·분리 작업 중 화물열차에 작업자 1명 깔림/사망 1명

- (지진) 13:21경/충남 서산시/북북서쪽 22㎞ 해역에서 규모 2.5(깊이 11㎞) 지진 발생, 계기진도 Ⅲ(충남)·Ⅱ(경기)         ※ 피해 없음, 유감신고 2건(충남)

- (산불) 2건* 발생, 피해면적 0.50㏊

     * 경북 영양(13:55~15:25/0.20㏊/입산자 실화), 서울 종로(14:38~16:18/0.30㏊/입산자 실화)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142

0

12

2,094

913

297

5,322

5,401

567

28 

❖헬기출동 : 19회(산악구조9, 응급환자3, 화재진화3, 훈련비행4) / 12명(구조9, 구급3)

❖구급상황관리 : 3,619회(의료지도 482, 대국민상담.지도 3,074, 이송병원선정 57, 헬기 2, 재외국민 4) 

❖생활안전조치 : 525회(동물처리 136, 비화재보확인 161, 잠금장치개방 55, 안전조치 16, 기타 157) 

 

◇ 화재진압

 (공  장) 경기 포천시『○○공장』

- 03:50~06:28, 공장 내부에서 발화 추정, 1,011㎡ 및 원자재, 기계류 등 소실

 

 (공  장) 충남 논산시『○○공장』

- 04:22~05:32, 공장 내부 전기적 요인 발화 추정, 175㎡ 및 기계류 등 소실

 

 (공  장) 경기 광주시『○○공장』

- 06:15~08:28, 공장 내부 발화 추정, 380㎡ 및 기계류 등 소실

 

 (주  택) 경남 거창군『○○주택』

- 10:21~12:24, 아궁이 취급부주의 발화 추정, 경상 1명, 77㎡ 및 가재도구 등 소실

 

 (주  택) 경북 김천시『○○주택』

- 18:06~19:51, 주택 내부 발화 추정, 경상 3명, 92㎡ 및 가재도구 등 소실

 

11월 6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ISSUE
[ISSUE] 소방조직 미래 ‘새내기 소방관’ 교육, 전면 개편한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