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Ⅰ

광고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 최기덕 | 기사입력 2023/01/20 [10:00]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Ⅰ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 최기덕 | 입력 : 2023/01/20 [10:00]

<119플러스> 매거진 독자분들은 ‘시카고 파이어’라는 미국 TV 드라마를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그 드라마를 보면 여러 소방관이 현장 활동을 할 때 개인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이용해 허리 아래 위치에 무전기를 착용하고 휴대용 마이크(RSM, Remote Speaker & Mic)로 무전 교신하는 장면들이 나옵니다.

 

드라마를 보면서 TV 드라마 속 소방관들이 별도의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사용해 무전기를 착용했는지 궁금했었습니다. 

 

▲ [그림 1] 드라마 속의 메튜 케이시(출처 m.blog.naver.com/kmz1216/22 2443358027)

 

또 동료 대부분은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를 이용하지 않고 카라비너를 이용해 등지게 D링에 직접 무전기를 착용하고 있었습니다. 과거 필자를 포함한 많은 동료는 등지게에 직접 휴대용 무전기를 착용했습니다.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그래서 이번 호에서는 2013년 미국의 패어팩스 소방국(Fairfax County Fire & Rescue Department)에서 작성한 글 ‘Portable Radio Placement in the IDLH[Ⅰ]’을 바탕으로 진압대원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무전기를 휴대하는 방법에 대해 여러분과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여러 가지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파우치와 스트랩 이용

무전기 주머니 이용

등지게에 카라비너 이용

[그림 2] 휴대용 무전기의 여러 가지 착용법

 

우린 화재 현장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휴대용 무전기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그간 어떤 방식의 무전기 착용법이 더 양호한 무전 교신을 유지하고 안전한 현장 활동을 하는 데 도움을 주는지를 논의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구글 검색을 통해 이와 관련된 문헌을 찾아본 후 주변을 돌아봤습니다. 미국의 일부 소방국(페어팩스 카운티, 몽고메리 카운티 등)에서는 진압대원의 가장 적절한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또 몇몇 영문 소방 전문잡지에서 휴대용 무전기의 착용법에 대한 의견을 적은 기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무전기 파우치와 스트랩을 이용한 방법,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논의는 있었으나 카라비너를 이용한 등지게(SCBA) D링에 직접 착용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면체를 착용하고 소음이 큰 현장에서 활동하는 화재진압 대원들의 무전기 마이크는 입 주변에 위치하는 게 가장 효율적으로 무선 송신을 할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외국 소방관 대부분은 휴대용 마이크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휴대용 마이크(RSM)를 사용해 마이크가 입 주변에 위치하도록 무전 교신을 하는 대원은 드뭅니다. 대원 대부분은 무전기 본체만을 등지게에 직접 장착해 무전 교신을 했습니다. 이는 RSM 지급이 부족하거나 RSM을 불편한 액세서리로 생각하는 대원이 많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NIST에서 권장하는 화재진압 대원용 휴대용 무전기의 내열 성능

▲ [표 1] NIST의 전자장비 열 등급(출처 NIST Tech Note 1477)

 

2006년 8월 미국의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에서는 NFPA 1221(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Use of Emergency Services Communications Systems)에서 권고하는 방법으로 미국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휴대용 무전기 모델 6개 대상, 온도에 따라 열에 대한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해 휴대용 무전기가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실험 후 관련 자료를 발표했습니다(NIST Tech Note 1477)[Ⅱ]1).

 

NIST에서는 해당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관들이 직면하는 열적 환경에서 휴대용 무전기의 성능을 다음과 같이 권장했습니다.

 

1. 추가의 열 보호 기능이 없는 휴대용 무전기는 열 등급 Ⅰ의 전자장비로 취급한다.

 

2.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 속 휴대용 무전기는 열 등급 Ⅱ의 전자장비로 취급한다.

 

3. 휴대용 무전기가 열 등급 Ⅱ의 전자장비가 되기 위한 열 보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4. 방화복 무전기 주머니 속의 휴대용 무전기가 열 등급 Ⅲ의 조건을 충족할 수 있었지만 RSM과 RSM 코드는 열 등급 Ⅱ의 조건만을 충족했다. 따라서 RSMㆍRSM 코드(RSM과 무전기의 연결 케이블)의 열 보호 성능을 개선해야 한다.

 

소방관의 방화복은 열 등급 Ⅲ 조건에 노출된 소방관을 보호하기 위해 설계됐으므로 휴대용 무전기도 동일한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작돼야 합니다.

 

NIST Tech Note 1477 실험에 사용된 무전기 중 하나의 모델은 RSMㆍRSM 코드가 열 등급 Ⅲ의 조건에 충족했는데 이는 작은 설계 변경이 열 등급 Ⅲ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음을 뜻합니다. 

 

방화복 무전기 주머니를 이용한 무전기 착용법에 대한 의견

▲ [그림 3] 방화복 무전기 주머니를 이용한 무전기 착용(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에 무전기가 위치하면 첫 번째, 무선 신호 손실이 발생합니다. 패어팩스 소방국과 모토로라 엔지니어가 공동으로 연구해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 속에 무전기를 착용하는 방법이 무선 신호 손실을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진압대원이 무전기 주머니 속에 무전기를 착용하고 화재 현장에서 기어 다니는 동안 무선 신호의 손실량을 30㏈로 예상해야 합니다.

 

이는 무전기 출력이 3W에서 0.01W로 감소함을 의미합니다2). 대원이 기어 다니는 동안 무전기 주머니 속의 안테나는 수직이 아닌 수평으로 위치하게 됩니다. 이때 안테나가 수직 위치로 건물 밖에서 활동하는 지휘관을 포함한 다른 대원과의 전자기파 교신에 장애가 생기는 신호 감쇠 효과가 발생하게 됩니다.

 

또 무전기가 대원의 몸통에 가까이 붙어 있을수록 대원의 체질량(body mass)에 의한 전자기파 흡수로 발생하는 신호 감쇠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두 효과가 더해져 더 큰 신호 감쇠 효과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무선 신호의 손실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큰 문제를 일으키진 않겠지만 건물 화재 현장, 특히 지하층이나 군중이 밀집한 장소에서 발생한 화재진압 활동 시 큰 문제가 됩니다.

 

▲ [그림 4] 무전기 주머니에 적절하지 않게 고정된 덮개(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두 번째, 대원이 현장 활동 중 무전기 주머니 밖으로 무전기가 빠져버리는 문제가 생깁니다. 패어팩스 카운티 소방국과 몽고메리 카운티 소방국에서는 붕괴사고 관련 훈련 중 대원의 무전기 주머니에서 무전기가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이탈해 무전 교신이 불량해지는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또 붕괴사고 현장에서 가장 흔한 장애물 중 하나가 전선/케이블입니다. 이런 장애물에 얽히면 대원들은 이를 통과하기 위해 전선/케이블을 절단해야 합니다. 하지만 대원들은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전선/케이블과 RSM 코드를 구별할 수 없어 RSM 코드를 절단하는 사례도 발견됐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위급한 상황 시 창문에 설치된 사다리를 통한 긴급 탈출 훈련에서 대원이 휴대한 랜턴(방화복의 랜턴 거치대, [그림 4] 참조), 주머니 속 무전기가 창문턱과 사다리의 가로대에 걸려 무전기 주머니 덮개 벨크로가 열리거나 무전기 주머니가 찢기는 현상이 발견됐습니다.

 

그리고 주변 대원의 무전기가 가까이 위치하면 무전 교신 중 하울링(hauling)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때 볼륨조절이 필요한 경우나 교신 채널을 변경하기 위해선 무전기 주머니의 벨크로 덮개를 열고 노브를 조절한 후 다시 주머니 덮개를 닫아야 합니다. 이때 주머니 덮개를 적절하게 덮지 않으면 무전기가 주머니에서 이탈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한 방화복 무전기 주머니 덮개는 벨크로의 기능이 저하돼 적절하게 덮어주지 않으면 적당한 고정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무전기가 주머니에서 이탈할 수 있습니다.

 

▲ [그림 5] 열 손상을 입은 RSM 코드(출처 패어팩스 소방국)

 

세 번째, 고열의 환경에서 활동하는 대원의 RSM과 RSM 코드가 열 용융될 가능성이 더 커집니다. 무전기 주머니 속의 무전기는 방화복 외피의 화염 보호성능으로 인해 RSM보다 열에 대한 내성이 더 강해집니다.

 

NIST에서 분류한 장비의 열 등급 또한 무전기 본체만 3등급(260℃, 5min), RSM과 RSM 코드는 2등급(160℃, 15min)의 열 내성을 지닌 것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고열의 화재 현장에서는 RSM과 RSM 코드가 노출돼 열 용융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개별 무전기의 무선 송신 기능이 손실되거나 PTT 버튼이 눌린 상태로 기능이 정지돼 화재 현장의 해당 채널 무전교신 전체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심각한 안전 위해 요소입니다.

 

PTT 버튼이 눌린 상태(open mic situation)는 mayday 상황에서 누구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없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RSM 코드는 방화복 안쪽에 착용했을 때 열 노출로부터 가장 잘 보호됩니다. 어떤 사람들은 RSM이 녹아서 기능을 상실할 경우 무전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고열 때문에 RSM이 녹을 경우 두꺼운 방화장갑을 착용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말하는 소방관도 있습니다. 

 

네 번째, 비상상황에서 대원들의 행동연구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무전기처럼 중요한 도구는 대원의 가슴 위치에 착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무전기 주머니는 방화복 상의 가슴 부분에 있어 비상상황에서 즉시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NIST Tech Note 1477에서는 방화복의 무전기 주머니에 휴대용 무전기를 장착한 후 실험을 했습니다. 무전기 자체의 열 등급은 Ⅱ등급이었지만 무전기 주머니 속의 무전기는 Ⅲ등급의 기준을 통과했습니다.

2) 현재 대한민국 소방에서 사용하는 UHF 무전기는 모토로라 XiR 8668 모델입니다. 제품사양 상 출력은 4W, 내열 조건은 260℃/6min입니다.

 

경기 안산소방서(119+ 화재진압 발전 연구회)_ 최기덕 : smile9096@icloud.com

 

<본 내용은 소방 조직의 소통과 발전을 위해 베테랑 소방관 등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2019년 5월 창간한 신개념 소방전문 월간 매거진 ‘119플러스’ 2023년 1월 호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진압대원의 휴대용 무전기 착용법 관련기사목록
[인터뷰]
[인터뷰] 옥동석 소방산업공제조합 이사장 “소방산업 대표 보증기관으로 위상 공고히 하겠다”
1/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