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질병관리청, 급성 심장정지 구급 품질 향상 워크숍 개최반기별 합동 워크숍 개최 통해 정보 공유 등 협력 지속키로[FPN 김태윤 기자] =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 소방청과 질병관리청이 머리를 맞댄다.
소방청(청장 직무대리 남화영)과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오는 6일 전남 여수에서 ‘제6차 급성 심장정지 구급 품질 향상 워크숍’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워크숍엔 질병관리청 급성 심장정지 조사ㆍ감시업무 관계자와 119구급대원 등 130여 명이 참여한다. 이들은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 제고를 위한 구급 품질 개선 전략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워크숍에선 ▲급성 심장정지 발생 현황과 향후 정책 방향 ▲2022년 심장정지 핵심 지표와 소방서별 현황 ▲구급대원 처치 경험과 급성 심장정지 생존 결과 분석 ▲심폐소생술 무압박 시간 단축(mechanical CPR) 노하우 등 발표와 사례 공유가 진행될 예정이다.
배원초 질병관리청 손상예방관리과장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 여부에 따른 생존율 등 ‘2021년 급성 심장정지 조사 주요 결과와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박정호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는 급성 심장정지 조사 결과를 활용해 119구급대원의 처치 경험이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의 분석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또 권능 전남소방본부 소방교는 급성 심장정지 환자 처치 경험을 토대로 심정지 상황에서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구급대원의 역할과 처치 방향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밖에 황보미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 소방장은 ‘더 많은 심장정지 환자를 살리기 위한 노하우’를 주제로 119 신고 시 상황요원이 일반인에게 심폐소생술을 안내하는 요령에 대해 발표한다.
소방청과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합동 워크숍을 반기별로 개최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급성 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등 적극적인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지영미 청장은 “급성 심장정지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는 만큼 환자 생존율 제고를 위해선 무엇보다 구급대원의 적극적인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번 합동 워크숍을 통해 급성 심장정지 조사ㆍ감시ㆍ예방 협력 체계가 더욱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화영 직무대리는 “급성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119구급대원의 구급활동 역량을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며 “119구급대의 구급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질병관리청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태윤 기자 tyry9798@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