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말벌 활동 왕성”… 소방청, ‘벌 쏘임 사고 예보제’ 시행10월까지 주의보ㆍ경보 두 단계로 운영[FPN 김태윤 기자] = 소방청(청장 남화영)이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는 7월을 맞아 ‘벌 쏘임 사고 예보제’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말벌은 기온이 상승하는 7월부터 활동이 왕성해진다. 특히 올해 여름은 예년보다 무더울 거로 예상돼 말벌이 급격하게 증가할 전망이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벌 쏘임 사고는 최근 3년(’20~’22년) 평균으로 6월엔 367건 발생했다. 하지만 7월엔 1224건으로 약 3.3배 증가했다. 특히 사고의 78.8%는 7~9월 사이로 집중됐다.
이에 소방청은 벌 쏘임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오는 10월까지 ‘벌 쏘임 사고 예보제’를 시행한다.
‘벌 쏘임 사고 예보제’는 최근 3년간의 벌 쏘임 사고 통계를 기반으로 발령인자 등을 분석해 산출한 위험지수가 50을 초과하면 주의보, 80을 넘어서면 경보를 발령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소방청에 따르면 벌은 어두운 계통의 옷이나 향수, 향이 진한 화장품에 더 큰 공격성을 보인다. 벌 쏘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선 야외 활동 시 흰색 계열의 옷과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피하는 게 좋다.
또 벌집과 접촉했을 땐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 땐 신속하게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벌 독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경우 메스꺼움과 울렁거림, 구토, 설사, 호흡 곤란 등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즉시 119에 신고 후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김학근 구조과장은 “말벌의 독성은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강해 벌에 쏘였을 때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하면 1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며 “야외 활동 시 벌 쏘임 예보에 따라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사고 시엔 최대한 빨리 119에 신고하고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태윤 기자 tyry9798@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