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혜인 의원 “재난 예비비, 지자체 여유자금 비축용 예산 돼선 안 돼”지난해 3조3700억원 편성, 지출률은 28.7%에 불과
‘재난ㆍ재해 예비비’는 예상치 못한 재해 발생에 대비해 지자체가 일반 예비비 외에 별도로 편성할 수 있는 예산이다. 일반 예비비가 예산총액 대비 1% 이내 제한 규정을 두는 것과 달리 재난ㆍ재해 예비비의 편성 비율은 지자체 재량이다.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지자체들은 추경을 통해 재난ㆍ재해 예비비를 당초 설정한 예산(1조2700억원) 대비 165.2% 증액한 3조3700억원으로 편성했다. 이를 제외한 일반회계 예산이 23.8%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상승폭이다.
이미 재난ㆍ재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가능성을 높게 판단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정작 지출률은 28.7%(9700억원)에 불과했다. 지출액이 아예 0원인 지자체도 지난해에만 25곳으로 확인됐다.
용 의원은 “재난ㆍ재해 예비비는 돌발 상황에 대비한 것인 만큼 지출률이 낮다고 해서 목적을 위배해 편성하고 있다고 단정할 순 없다”면서도 “통계 수치를 보면 지자체가 재난ㆍ재해 예비비를 과다 편성한 뒤 불용된 예비비를 결산상 잉여금으로 잡아 여유자금으로 비축하려는 모습이 보인다”고 꼬집었다.
이어 “지역 주민이 기후 재난에 더해 예산 재난까지 감당하도록 해선 안 된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모두 심각한 세수 결손 상황에 직면해 있는 만큼 이번 국정감사에서 재난ㆍ재해 예비비가 제 역할을 하도록 제도적 개선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태윤 기자 tyry9798@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