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봄철, 미세먼지주의보만큼 신경써야 할 ‘치아 손상’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14/04/07 [15:15]

봄철, 미세먼지주의보만큼 신경써야 할 ‘치아 손상’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14/04/07 [15:15]

따뜻한 봄 기운으로 벚꽃이 핀 요즘, 꽃놀이를 즐기기에 최상의 계절이다.

추웠던 날씨 탓에 집안에만 있던 아이들 및 어른들의 야외활동이 증가하며 치아가 부러지거나 빠지는 사고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4월이 되면 황사와 미세먼지가 심해지며 호흡기 질환 주의가 요구된다. 치아 역시 4월에 치아손상이 평균 25.2%로 높게 집계되며 집중적으로 주의해야 할 문제로 비춰진다.
 
넘어지는 사고, 치아 손상의 원인?
최근 이상고온으로 전국에 벚꽃이 빨리 피자, 나들이를 계획한 박 모씨(남·38세)는 가족과 즐거운 한 때를 보내기 위해 축제를 찾았다. 하지만 뛰어 놀던 아이들의 안전은 생각하지 못한 채 방치하다 큰 아이가 넘어져 앞니가 부러지는 사고를 당했고, 아이는 보철물을 씌우는 치료를 해야 했다.

한 대학병원의 통계에 따르면 2008년~2012년 5년간 앞니가 부러지거나 빠져 병원을 찾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야외(놀이터·도로 등)가 28%로 치아 손상 사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욕실·방 등)이 21%, 그 외 학교, 백화점, 아파트 공터, 계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으로는 ‘넘어진 경우’가 21%, ‘고정된 구조물에 부딪힌 경우’ 17%, ‘장난감’이 10%, ‘사람과 부딪힘’ 8%, ‘자전거 타다가 넘어짐’ 6%, ‘음식물 섭취’가 3%로 ‘넘어져 치아가 손상’된 경우가 다반사였다.

치아가 빠진 경우 응급조치는?
외상으로 치아가 완전히 빠진 경우라면 응급조치를 한 뒤 30분 이내에 치과를 방문하는 것을 권장한다. 치아 뿌리의 치근막 세포가 정상적으로 살았다면 자연치아를 살려 치아 재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치아가 빠진 상태라면 체액과 농도가 비슷한 생리식염수나 차가운 흰 우유에 빠진 치아를 넣어 응급조치를 하는 것이 좋다. 만약 식염수나 우유가 없다면 입 안에 빠진 치아를 넣어 습기를 유지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된다.

반면 빠진 치아를 손수건이나 수건에 싸서 가져가거나 깨끗하게 가져가기 위해서 수돗물에 헹구거나 이물질을 털어내는 행동을 할 수 있다. 이는 치아의 세포를 손상시키는 행동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네모치과병원 명동점 박성연 원장은 “날씨가 따뜻해지며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봄철, 치아손상의 위험이 높아지기 쉽다”라며 “치아 손상이 발생했다면 응급조치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치과를 방문하여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며 겉으로 봤을 때 멀쩡하고 이상이 없다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했다.

<자료제공 : 네모치과병원>
소방방재신문 fpn119@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안전을 넘어 정책의 기준 제시 ‘정책연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