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8월 8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15/08/08 [09:49]

8월 8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15/08/08 [09:49]

■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8.7)
 - 피해상황 : 49명(온열질환자) / 누계 754명(사망 7, 온열질환자 747)
   * 가축폐사 : 8만9천여 마리 / 누계 161만여 마리(닭 1,554,216, 오리 39,277, 돼지 4,334, 메추리 10,000)
 - 대처상황
  - (국민안전처) 폭염대책 추진 총괄관리 및 비상근무 등 상황관리체계 운영
   ․재난문자방송(CBS) 등을 활용, 폭염 행동요령 홍보(서울을 포함한 특보 지역)
   ․119폭염구급대 : 응급처치 36명(누계 270명), 온열질환자 이송 35명(누계 241명)
  - (복 지 부) 독거노인생활관리사에 폭염특보 대비 노인보호 강화 지시
  - (농식품부) 폭염대비 축사관리 요령 홍보 인터뷰(YTN)
  - (지 자 체)폭염특보 발효 16개 시․도 2,237명 상황근무 실시
   ․폭염 취약계층 건강관리‧안부확인(114,140회), 무더위쉼터 방문 점검‧홍보(10,442회)
   ․폭염상황 및 행동요령 홍보(전광판‧앰프 등 38,658회, 문자서비스 382,472명)
 - 향후계획 : 폭염피해 예방 대국민 홍보(계속), 119폭염구급대 지속 운영

 

▲ 적조 대처상황(8.7) * 피해상항 없음
 - 특보발령 상황
  - 적조주의보 발령 : 경남 남해군 남면∼거제시 남부면 해역(8.5)
  - 적조생물출현주의보 확대발령 : 전남 장흥군 회진면∼고흥군 염포 해역(8.7)
 - 조치사항 : 적조대책본부 가동(8.5~, 경남), 황토살포(209톤), 산소발생기 가동
 - 향후전망 : 높은 일사량과 고수온으로 적조 밀도 증가 및 발생해역 확대 전망

 

▲ 물놀이 안전관리 상황(8.7)
 - 물놀이 관리지역 : 1,697개소(15개 시‧도, 146개 시‧군‧구)
 - 사망사고 현황(금일/누계, 잠정) : 2명 / 누계 34명  * 강‧하천 19, 계곡 4, 해수욕장 8, 해변 3명
   * 물놀이 사고(사망)여부는 9월중 ‘물놀이사고심의위원회’에서 확정
 - 안전사고 예방활동
  - (국민안전처)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대책기간(6.1∼8.31) 설정·운영
   ․ 특별대책기간(7.15∼8.17) 관리지역 공무원 전담관리제 운영(C등급 138개소, 60명)
   * 물놀이 관리지역 공무원 전담관리제 현장점검 : 충북 옥천군 등 7개 시‧군 9개소
   * 물놀이 사고(사망)여부는 9월중 ‘물놀이사고심의위원회’에서 확정
   ․ 119시민수상구조대(9,870명, 장비 200대) 6명 구조, 해상구조대(428명, 장비 160대) 11명 구조
   ․ 제주 곽지, 동해 경포대 해수욕장 등 안전관리 실태 현장점검
   ․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홍보 활동(TV 5개사 물개송 CF, 라디오 2개사)
   * 민방위 재난 예·경보장비 활용 홍보방송(2개 시·도 32개 시·군·구 94개소 3회)
  - (지자체) 물놀이지역 현장점검(전남 6개 시·군, 경기 가평, 경북 2개 시),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강원 속초, 충남 청양 등)
 - 향후계획 : 내수면 수상레저기구 안전관리 점검 및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 실시 등

 

▲ 메르스 대처상황(8.7)                     * 최초 발생 ’15.5.20(‘주의’단계 발령)
 - 확진환자 : 총 186명(사망 36명, 퇴원 140, 치료중10(불안정3))
   * 8.6일, 퇴원(163번째 확진환자, 여, 53세) 1명

 

▲ (발전정지) 전남 영광 한빛원자력 2호기(100만kw 생산) 소규모 화재, 발전정지(8.8)
 - 03:00시경, 한빛원전 2호기 배전기에서 단락 발생, 자체 진화(03:16)
   * 전망 : 공급 8,900만kw, 사용 7,800만kw, 예비전력 1,100만kw(예비율 12%)로 전력수급 문제없음

 

재난안전 예방활동
▲ 국민안전처,「물놀이 안전명소」선정을 위한 현장평가(8.7~8.14)
 - 20개소(7개 도, 20개 시‧군) 대상, 민관 합동평가반(3개반 6명) 구성 평가
  - 지자체 물놀이 자율 안전관리 유도 및 피서객 안전의식 제고

 

▲ 국민안전처, 제70주년 광복절 행사장 소방안전대책 추진(8.8, 8.14, 8.15)
 - 문화이벤트 행사장 전국 183개소(실내 72개소, 실외 111개소) 대상
  - (행사전) 주요 행사장 안전점검 및 사고 예방활동 강화
  - (행사중) 불꽃축제 행사장 소방력 전진배치 등 긴급대응태세 확립

 

▲ 농림축산식품부, 폭염으로 인한 농업분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유형별 행동요령 발표(8.7)
 - 폭염 발령시 행동요령 및 가축재해보험에 가입한 축산농가는 폭염으로 인한 가축폐사 등의 피해를 신고하면 보험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고 발표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건수

사망

부상

피해액

(백만원)

건수

인원

건수

인원

일 계

129

0

3

406

1,869

328

4,264

4,385

누 계

28,564

170

1,168

234,873

210,012

54,776

973,159

998,517

❖ 수난사고: 10건11명(사망4, 부상1, 안전구조5, 기타1 / 해수욕장4, 저수지2, 바다2, 강2, 계곡1)
❖ 폭염: 36건 36명(열사병18, 열탈진9, 열경련3, 열실신6)
❖ 생활안전: 2,113건 / 벌집제거 1,386, 위해동물포획 228, 갇힘사고 125, 전기‧가스안전 5, 기타 369

 

◇ 화재진압 활동
▲ (주택) 경기 부천시 원미구『일반주택(2/1) 1층』
 - 12:10~12:16, 가스렌지 취급부주의, 중상 1명(남/55세), 가재도구류 소실

 

(주택) 부산 영도구 청학동『주택 내 법당』
 - 13:34~13:50, 주택안에 꾸며진 법당에서 발화, 30㎡ 및 집기류 등 소실(20백만원)

 

▲ (차량) 전남 나주시 산제리『농업기술원(진동로울러)』
 - 16:13~16:30, 출력저하로 엔진실에서 발화, 로울러 등 일부 소실

 

▲ (공장) 경기 파주시 백석리『소파제조(2/0)』
 - 01:17~12:01, 가설건축물에서 발화, 1,205㎡ 및 집기류 소실(189백만원)
 
◇ 구조・구급 활동
▲ (교통사고) 강원 강릉시 상시동리『도로 옆 배수로』
 - 14:12, 시내버스가 배수로에 빠짐, 경상 14명, 응급처치 후 병원이송
 
▲ (안전사고) 서울 성북구 정릉동『주택(3/1) 담벼락 전도』
 - 16:47, 담과 토사가 인접 다세대 주택으로 전도, 도시가스 배관 차단조치

 

▲ (안전사고) 서울 노원구 상계동『현대아파트 106동』
 - 21:43, 총기류제작 중 손가락 절단 추정, 중상 1명(남/56세), 응급처치 병원이송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외국어선 단속

주요 해양사고

(척/명)

오염방제

(건/유출량㎘)

나포

검문

차단․퇴거

일 계

0

0

0

4 / 45

0 / 0

누 계

209

(지도선 포함)

536척

3,630척

1016 / 9,172

157 / 373㎘

 

◇ 해양사고
▲ (레저기구) 포항, 칠포 해상 표류 레저기구 예인
 - 12:42, 제트보트(1명) 안개로 방향상실ㆍ표류, P93정 영일만항 예인
 
▲ (선박예인) 서귀포ㆍ평택ㆍ여수, 선박 예인 및 안전관리
 - 05:04, 서귀포항 해상, 어선(29톤,10명) 기관고장, 506함 서귀포항 예인
 - 10:00, 화순 해상, 운반선(1,590톤,10명) 기관고장, 민간선박 동원 예인, T06정 안전관리
 - 15:53, 당진화력 인근 해상 낚시어선(14명) 스크루 어망감김, 어망 자체제거, P73정 안전관리
 - 19:42, 화태도 해상 어선(4,9톤,2명) 기관고장, P103정 돌산 군내항 예인

 

▲ (선박충돌) 부산, 남외항 묘박지 선박 충돌
 - 11:00, 화물선(88,930톤) 이동중 정박중인 컨테이너선(6,379톤)과 충돌(접촉), 인명피해ㆍ오염없음

 

▲ (익수자) 포항ㆍ서귀포ㆍ동해, 해수욕장 사고 및 익수자 구조
 - 10:40, 월포해수욕장 피서객(남,74세) 해안(수심40cm) 거닐던중 쓰러져 CPR 후 병원이송(사망)
 - 12:05~15:45, 중문색달해변 입욕객(4명) 수영미숙으로 익수, 해상구조대 레스크튜브 이용 구조
 - 17:24, 어달 군초소 해상  전복 채취차 입수 후 익수(남,34세), 민간안전요원 구조, 병원이송(사망)

 

▲ (응급환자) 평택ㆍ제주ㆍ인천ㆍ여수, 응급환자(4명) 이송
 - 14:25, 소난지도 관광객(남,40세) 손목 부상, 대산센터 순찰정 이용 이송
 - 17:55, 추자도 작업인부(남,37세) 뇌졸증, 헬기(B513) 이송
 - 21:58, 장봉도 주민(여,56세) 호흡관란, H01정 이송
 - 23:51, 대경도 어린이(남,9세) 이마 부상, 봉산센터 순찰정 이송
 
8월 8일 07: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광고
ISSUE
[ISSUE] 소방조직 미래 ‘새내기 소방관’ 교육, 전면 개편한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