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9월 14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15/09/14 [08:41]

9월 14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15/09/14 [08:41]

 ■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낚시어선「돌고래호」전복 대처상황(9.11)           * 추가발견 없음
 - 발생개요 : 9.5. 20:40경(신고), 제주 추자도 신양항~전남 해남군 남성항 해상에서 낚시어선(돌고래호, 9.77톤, 해남선적, 승선원 21명 추정) 전복
 - 인명피해(잠정) : 구조 3명(입원중), 사망 11명, 실종 7명(수색중)  * 추가발견 없음
 - 주요 조치사항      
   - (국민안전처) 장관주재 대처상황 점검회의(09:00), 중앙구조본부 구성‧운영(9.5~), 현장수습지원관(9.6~)‧수색구조지원팀 파견(9.7~), 실종자 가족 수색현장 방문 지원 등
   - (해수부) 중앙사고수습본부 가동(9.6~), 수산정책실장 파견(9.8~), 특별사고조사반 조사 진행(9.9~), 유족지원반 제주항 파견(9.10~)
   - (지자체) 전남도‧해남군 사고수습본부, 부산시 사고수습지원본부 및 제주도 사고대책반 운영(9.6~), 장례 등 유가족‧실종자 가족 지원
 - 동원현황(9.13) : 함선 75척(해경 26, 해군 7, 관공선 8, 민간 34(저인망 16)), 항공기 9대(해경 4, 해군 3, 공군 1, 관공선 1) 11회, 수중수색 15회 51명, 해안가 수색 847명
   ※ 야간수색 동원현황 : 함선 44척(해경 26, 해군 4, 관공선 6, 저인망 8), 항공기 3대(해경 1, 해군 1, 공군 1)            * 조명탄 106발(해경 6, 공군 100) 투하
 - 수색계획(9.14) : 함선 89척(해경 26, 해군 9, 관공선 8, 민간 46(저인망 8)), 항공기 10대(해경 5, 해군 3, 공군 1, 관공선 1), 수중수색 59명, 해안가 수색 681명
 
▲ 적조 대처상황(9.11)    * 최초경보발령 : 적조생물 출현주의보(8.2) / 적조주의보(8.5) / 적조경보(8.13)
  (적조경보) 전남 완도군 보길도∼경북 포항시 지경리
  (적조주의보) 전남 진도군 조도면∼완도군 보길도, 경북 포항시 지경리∼울진군 나곡리
 - 어업피해(일계/누계) : 1가구 5천마리 15백만원 / 71가구 189.6만마리 2,531백만원
 - 대처상황                              * 해수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운영(8.13~)
 - (국민안전처) 비상근무, 적조 예찰 및 방제(항공기‧함정 등)지원
   ※예찰활동(34회/누계 1,253회), 긴급방제 지원(누계 함정 127척, 1,038명)
 - (지자체)적조상황실 운영, 긴급방제(울산, 전남, 경북, 경남) 및 예찰(부산) 실시
   ※방제실적(일계/누계) : 황토살포 1,973톤/72,682톤, 선박 145척/15,703척, 인력 327명/35,176명
 - 향후전망 : 남해안 연안은 전반적으로 밀도 약화 예상, 서부해역(완도∼고흥)은 당분간 지속, 남해안 일부수역(남해∼고흥)은 수온이 하강하는 9월말∼10월초까지 소규모 적조가 국지적 지속 예상

 

■ 재난안전 예방활동
▲ 국민안전처, 항공구조사 전문훈련 실시(9.14~9.25)
 - 중앙119구조본부 주관, 시·도소방본부·해양본부·중앙구조본부 항공구조사 대상 / 항공안전관리, 수난 및 산악사고 시 항공인명구조 실습 훈련 실시

 

▲ 해양수산부, 추석뱃길 안전 ‘항만·어항’ 집중 점검(9.14~23)
 - 주요항만 60개소·국가어항 21개소 대상, 지방해양수산청·지자체·어촌어항협회 등과 합동점검, 여객터미널 등 취약시설 안전관리상황 중점 점검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건수

사망

부상

피해액

(백만원)

건수

인원

건수

인원

일 계

95

0

2

466

1,957

353

4,584

4,749

누 계

32,322

184

1,285

310,880

284,527

67,241

1,147,359

1,178,144

생활안전 2,058 / 벌집제거 1,385 위해동물포획 275, 갇힘사고 101, 전기‧가스안전 10, 기타 287


◇ 화재진압 활동
▲ (공장화재) 경기 평택시 진위면 견신리『OO제지(2/0)분전반 2층』
 - 15:30~15:34, 점검중 스파크에 의한 착화, 중상 1명(남/30세, 상반신 2도 화상), 분전반 소실(9백만원)


▲ (선박화재) 경북 포항시 영덕군 축산면『경정항 부두』
 - 16:09~16:25, 정박중인 선박에 휘발유 뿌려 방화, 0.4톤 소형어선(FRP) 소실(170만원)


▲ (주택화재) 전남 강진군 성전면 수앙리『단독주택 1층』
 - 16:27~16:53, 아궁이 부주의 발화, 경상 1명(여/75세, 손 1~2도 화상), 10㎡소실(30만원)


▲ (주택화재) 경기 평택시 세교동『단독주택 1층』
 - 18:55~19:20, 누전에 의한 발화, 거주자(1명) 자력대피, 85㎡ 및 가재도구 소실(28백만원) 

 

◇ 구조・구급 활동
▲ (벌쏘임사고) 울산 두동면 만화리『숲안마을 인근』
 - 08:57, 벌초 중 말벌에 쏘임, 사망 1명(남/53세),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익수사고) 강원 인제군 남면 부평리『도수암 계곡』
 - 09:09, 계곡 물놀이중 익수, 사망 1명(남/54세), 응급처치(CPR)후 병원이송


▲ (벌쏘임사고) 전남 장흥군 회진면『회진삼거리 인근』
   09:39, 벌초 중 3명이 말벌에 쏘임, 부상 3명(중상1, 경상2),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전원 귀가(18:00)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외국어선 단속

주요 해양사고

(척/명)

오염방제

(건/유출량㎘)

나포

검문

차단․퇴거

일 계

0

0

90

9 / 61

0 / 0

누 계

222

(지도선 포함)

561척

4,120척

1,216 / 10,572

186 / 392㎘

 

◇ 외국어선 단속
▲ (퇴거) 인천, 1002함 중국어선(90척) 퇴거
 - 07:25~08:20, 소청도 남동 28해리(NLL 4해리 침범), 1002함․해군함정 합동 90척 퇴거

 

◇ 해양사고
▲ (선박접촉) 서귀포, 한-중 어선 간 선박접촉 발생
 - 08:10, 서귀포 남서 172해리, 국내어선(139톤)․중국어선(50톤급) 충돌, 3003함 현장확인
    * 피해사항 : 국내어선(좌현 외판 굴곡), 한중어선해상사고처리지침 의거 수리금액 보상예정


▲ (선박예인) 통영․제주, 선박(2척) 예인
 - 16:58, 소구을비도 남방 0.2해리, 낚시어선(9.7톤,12명) 어망감김, 1005함 안전지대 예인
 - 18:00, 차귀도 서방 80해리, 어선(27톤,9명), 타기고장, 303함 이동 중(ETA 14. 07:30)

 

▲ (레저사고) 통영․제주, 레저기구(2척)
 - 16:24, 저도 남서 0.5해리, 모터보트(2.5톤,4명) 기관고장, 사천센터 구조정 실안항 예인
 - 16:50, 화북포구 앞 해상, 고무보트(25마력,3명) 시동불능, 제주센터 구조정 화북항 예인


▲ (응급환자) 군산, 응급환자(1명) 이송
 - 21:05, 위도 남방 0.5해리, 어선원(남,46세) 파도에 넘어져 뇌진탕 증상, P69정 격포항 이송

 

▲ (고립자) 보령, 고립자(3명) 구조
 - 11:05, 독산해수욕장 직언도, 행락객(남,54세) 밀물로 고립, 122구조대 고립자 구조
 - 14:40, 홍원항 인근 갯바위, 어린이(남,7세/여,3세) 보호자 없이 밀물로 고립, 홍원센터 구조

 

▲ (변사자) 태안, 변사자(1구) 인양
 - 13:01, 가의도 남서 15해리, 어선 입항중 변사자(남) 발견, 319함 인양, 형사계 조사 중

 

기타사항
▲ (피나포) 동해, 독도 북동 178해리, 국내어선(1척) 피나포 발생
- 08:05, 어선(97톤,11명) 러시아 국경수비대 함정에 나포, 나호드카항 압송 중(ETA 14. 11:00)
    * 나포사유 : 러시아 EEZ(내측 4해리) 대게 불법포획, 국적기 미 게양, 정선명령 위반
 
9월 14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

광고
ISSUE
[ISSUE] 소방조직 미래 ‘새내기 소방관’ 교육, 전면 개편한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