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으로 풍수해 등 각종 재난이 빈발하고, 사회구조가 고도화되면서 국민들의 안전한 삶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에 있어 정부의 재난 및 안전관리의 중요성도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영국 기상청 등 세계기상ㆍ기후 전문가들에 따르면 2006년도의 세계평균기온은 1891년 이후 여섯 번째로 높았으며, 올 여름의 무더위도 지난해 수준을 넘어서, 그야말로 전세계가 2007년에 사상 최고의 무더위를 경험할 것으로 전망. 이에 따라 행정자치부(장관 박명재)는 '07. 3.29(목)∼3.30(금), 2일간 강원도 원주시에서 행정자치부, 소방방재청 등 22개 중앙부처 및 시ㆍ도 재난관리계획담당 공무원 및 관계 전문가가 참여한 가운데 워크숍을 개최하여 기상이변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재난관리계획 수립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2008년도 국가안전관리계획을 '07.9.28까지 수립하여 국무총리 승인을 거쳐 확정할 방침이다. 이번 워크숍은 강원대 백민호 교수의 "우리나라의 재난발생과 예방대책"이라는 주제 기조강연에 이어 기상청 김현경 박사의 "2007 기상전망과 장기예보 소개", 기상청 박종찬 박사의 "한국 지진발생 현황 및 대책" 특강과 국가안전관리계획수립의 중요성, 2006년도 재난피해 및 복구사례 발표와 관계자간 토론회 등의 내용으로 구성하여 이번 워크숍의 주제는 기상변화에 따른 국가재난관리 및 대응의 혁신이라고 할 수 있다. 강원대 백민호 교수의 "우리나라의 재난발생과 예방대책"이라는 주제의 기조강연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 재난관리를 보면 지금까지 사후피해복구에 치중해 왔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각 분야별 재해위험 요인을 사전에 제거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여야 하나 재해 발생 후 구조(救助)조치나 복구대책에 치중하여 왔다는 말이다. 그러나 방재계획의 수립에 있어서 사전 방재만을 우선적으로 하는 경우, 경제성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며 또한 사전 방재와 경제성을 우선하는 경우 환경성이 무시되는 경우가 생기므로 24시간 활동하고 생산과 소비가 지속되는 도시공간은 사전방재, 경제성, 환경성이 조화를 이루면서 지속 가능한 방재, 쾌적하고 효율적인 방재, 환경친화적 방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관리계획수립이 요구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가재난관리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