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가스기기 사고 예방 위한 안전대책 필요 절실

일산화탄소(CO) 중독사고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광고
최 영 기자 | 기사입력 2007/07/18 [23:27]

가스기기 사고 예방 위한 안전대책 필요 절실

일산화탄소(CO) 중독사고 해마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 영 기자 | 입력 : 2007/07/18 [23:27]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망이나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가스기기 사고통계 및 액화가스법 등 관련 법규를 분석한 결과 전체 가스기기(가스보일러, 순간가스온수기 등) 사고 541건 중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사고는 7.8%(42건)이었고 총 135명의 사상자가 발생해 사고 1건당 평균 3.2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2003년 이후 매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가스기기별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현황     


특히, 일산화탄소 중독사고의 경우 사고 1건당 평균 사망자 수가 1.0명으로, 화재나 폭발 등을 포함한 전체 가스기기 사고의 사망자 수 (1건당 평균 0.2명)보다 약 5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가스기기별로는 가스보일러 사용 중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81.0%(34건)이었으며, 나머지는 순간가스온수기 사고였다.
▲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가스기기별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현황    

이에 가스보일러, 순간가스온수기의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42건의 피해원인을 분석한 결과 급배기구 작동불량, 환기 불량 장소의 설치, 기기설치불량, 무자격자에 의한 잘못된 기기 설치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사례    


 미국의 경우 70년대부터 정미상해조사전산망을 운영해(neiss: national electronic injury surveillance system)제품 안전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이 중 일산화탄소 중독도 주요 정보 중 하나로 관리 하고 있다.

또,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는 지난 5년간 사고 예방을 위한 사업에 매년 약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정보축적, 안전기준 제정, 리콜명령, 소비자정보제공 등의 다양한 대책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경우도 배기판 작동불량으로 다수의 중독 사고가 발생한 순간가스온수기 제품에 대해 지난 2006년 7월 리콜명령과 사용자 주의경보를 발령한 바 있으며 이후 12월, 일산화탄소 중독이 발생되거나 발생우려가 있는 경우 제조·수입업자가 경제산업성에 보고하도록 하고 이의 공표를 내용으로 하는 관련 법 개정이 있었다.

이처럼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사고 예방을 위한 통일된 위해정보수집체계 등을 마련하여 이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일산화탄소 중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관련 위해정보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지 못하는 등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이 미비한 실정이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 운영과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보고와 공표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한편,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ciss(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의 적극적인 활용함은 물론 액화가스법상 사업자의 보고의무 강화 및 사용·설치시 주의사항 표시 및 도시가스사업법상 피해예방조치규정 보완 등을 관계 기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가스기기 관련기사목록
광고
ISSUE
[ISSUE] 소방조직 미래 ‘새내기 소방관’ 교육, 전면 개편한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