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전국 공공시설물 10곳 중 8곳 내진 성능 갖춰… 2035년 100% 목표

정부, 2023년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 추진결과 공개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4/04/26 [15:55]

전국 공공시설물 10곳 중 8곳 내진 성능 갖춰… 2035년 100% 목표

정부, 2023년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 추진결과 공개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4/04/26 [15:55]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이 민간건축물의 내진보강 공사를 지원하는 (주)케이티 광화문빌딩(West)을 찾아 인사말을 하고 있다.  © 행정안전부 제공


[FPN 박준호 기자] = 전국 공공시설물 10곳 중 8곳이 내진 성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 행안부)는 2023년도 내진보강대책을 추진한 결과 전국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율이 78.1%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진 시 건물 붕괴 등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5년 단위로 ‘내진보강 기본계획’을 수립ㆍ추진하고 있다.

 

관계 법령 제ㆍ개정 이전에 설치된 전국 공공시설물 33종 약 20만 개소가 대상이다. 현재 3단계 사업을 추진 중으로 2035년까지 내진율 100%가 목표다.

 

주요 사회기반시설(SOC)과 지방자치단체 청사는 2025년, 유ㆍ초ㆍ중등학교는 2029년, 소방서ㆍ경찰서는 2030년까지 보강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지난해 8923억원을 투입해 4571개소(중앙 3603, 지자체 968)의 내진 성능을 확보했다. 이로써 내진율은 전년(75.1%)보다 3% 증가한 78.1%를 기록했다. 이는 당초 목표(76.5%)보다 초과 달성한 실적이라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

 

시설물별로는 공공건축물이 2398개소로 가장 많았고 학교시설 1260개소, 도로시설물 634개소가 뒤를 이었다. 중앙행정기관은 교육부 1401개소, 국방부 1250개소, 국토교통부 597개소 순이었다.

 

김광용 자연재난실장은 “공공시설물은 대규모 재난이 발생했을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물인 만큼 내진 성능을 확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 정부는 관계기관과 협력, 예산투자와 내진보강을 적극 추진해 공공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조속히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는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매년 4월 30일까지 전년도 내진보강대책 추진결과를 관보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ISSUE
[ISSUE] 소방조직 미래 ‘새내기 소방관’ 교육, 전면 개편한다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