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은 화재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화재 시엔 초기 진압이 최선이지만 대피가 필요한 상황에선 완강기가 중요한 생명선이 된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완강기의 존재와 사용법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
완강기는 ‘소방시설 설치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동주택, 숙박시설, 업무시설, 복합건출물 등 주요 건물의 지상 3층 이상, 10층 이하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피난기구다.
단어 그대로 느리게 내려올 수 있는 기구로 화재나 기타 재난 상황에서 정상적인 대피가 불가능할 경우 사용한다. 사용자의 체중과 설정된 물리적 값에 따라 속도를 조절해 대피를 돕는다.
화재 대피 시 필수 장비인 완강기는 고층 건물에서 화재 등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돕는 장비다. 줄에 매달려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게 설계됐고 어린이와 노약자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실제 사용법에 대해 숙지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완강기는 ▲지지대를 벽면에 부착하기 ▲완강기 후크를 고리에 걸고 지지대와 연결 후 나사를 조이기 ▲릴(줄)을 창밖 내려갈 곳으로 던지기 ▲벨트를 머리에서부터 뒤집어 쓰고 뒤틀림이 없도록 겨드랑이 밑에 걸기 ▲고정링을 조절해 벨트를 가슴에 확실히 조이기 ▲지지대를 창밖으로 향하게 하기 ▲두 손으로 조절기 바로 밑의 로프 2개를 잡기 ▲발부터 창밖으로 내밀어 탈출하기 ▲두 손을 건물 외벽을 향해 뻗고 두 발을 뻗어 내려가기 순으로 사용하면 된다.
화재는 언제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는 예고 없는 재난이다. 실제 화재나 비상 상황에서 혼란스러워 하거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완강기 사용법을 사전에 숙지 생활화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천중부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위 조인자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