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 예방 및 관리에 만병통치약이란 없다는 사실을 요즘 미국이 잘 보여주고 있다. 8월29일은 초대형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 멕시코만을 강타한 지 1주년이 되는 날. 그러나 뉴올리언스 등 피해 지역은 아직도 심각한 후유증으로 신음 중이다. 카트리나는 1577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812억 달러의 재산피해를 냈다. 인명피해로는 1928년 이래 두 번째, 피해 액수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미국 정부는 카트리나 피해 복구비로 이라크 전비(戰費)에 버금가는 1000억 달러 이상의 거금을 투입했지만, 깊게 파인 상처는 쉬 아물지 않고 있다. 도시의 80%가 물바다가 된 뉴올리언스의 경우 카트리나 엄습 이전의 인구가 46만5000명 정도였지만 지금도 절반인 23만여 명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피해 발생 초기부터 1년이 지난 지금까지 어설픈 대처로 일관해 피해지역 주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일례로 뉴올리언스의 부유층 지역은 거의 정상을 되찾은 반면, 빈민 지역은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폐허 상태로 방치되는 등 ‘복구 양극화’가 나타나 민심이반 현상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이재민을 위한 구호지원금도 상당 부분 부적절하게 낭비된 것으로 조사됐다. 부시 대통령의 위기관리 능력에 대한 의구심은 자연스럽게 조기 레임덕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현지 언론의 분석이다. 천재지변은 하늘의 뜻인지 몰라도, 위정자가 거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민심이 달라지는 것은 만고불변의 진리인 것 같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