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균형인사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이공계와 기술직의 공무원 고위직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이지만 아직까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5일 중앙인사위의 인사통계 결과 지난해 말 4급 이상에 진출한 기술직과 이공계 공무원은 전체 7531명 가운데 29.5%인 1923명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반직은 5608명으로 이공계, 기술직 확대 목표인 30.6%에 비해 1% 모자란 것으로 집계됨에 따라 정부는 올해의 목표치를 32.3%로 높였다. 기술직과 이공계 임용이 많은 곳은 경찰청과 해양경찰청으로 나타났으며 두 기관 모두 4급 이상 공무원의 일반직 대비 기술직의 비율이 50대 50인 것으로 나타나 100%비율을 보였다. 이어 기상청은 일반직 대비 기술직 비율이 90.14%로 3위를 차지했으며 일반직이 71인데 비해 기술직은 62명, 이공계는 2명으로 집계됐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청(71.2%), 특허청(68%), 보건복지부(64.4%), 과학기술부(61%), 산림청(59.7%), 농림부(54.31%), 환경부(51.4%), 소방방재청(50%), 조달청(49.5%), 해양수산부(49%) 등도 일반직 대비 기술직과 이공계의 진출이 높은 편이다. 특히, 국가안전보장회의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등에는 이공계와 기술직이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법제처도 일반직은 82명인 데 비해 이공계는 1명에 불과해 기술직·이공계 진출 비율이 1.22%에 그치고 있다. 금융감독위원회도 일반직은 34명이지만 이공계는 1명밖에 없는 것으로 조사됐고 이밖에 재경부(4.53%), 공정거래위원회(6.52%), 국가보훈처(6.94%), 국무총리 비서실(6.25%), 국정홍보처(4.17%), 기획예산처(5.44%), 대통령 비서실(7.29%), 중앙인사위(8.82%), 청소년위원회(3.85%), 통일부(8.70%)등도 저조한 편으로 통계됐다. 이로써 49개의 행정기관 중 34곳이 평균을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부처별 업무 특성에 따라 차이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지만 일부기관은 지나친 감이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공계고위직먼길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