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3월 26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2/03/26 [12:02]

3월 26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2/03/26 [12:02]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코로나19 대처상황                     ※ 질병관리청(3.25. 0시 기준)

- 발생현황 : (신규사망) 393명전일76↓ (재원 위중증) 1,085명전일4↑

   (신규입원) 1,991명전일9↑ (신규확진) 339,514명전일56,083↓/전주67,381↓(국내339,485*, 해외29)

     ※ 누계 : 사망 14,294명(치명률 0.13%), 확진 11,162,232명 / * 수도권 176,417명, 비수도권 163,068명

  예방접종 : 43,241명(1차1,727, 2차1,497, 3차40,017)

     ※ 누계 : 1차44,938,697명(인구대비87.6%), 2차44,467,812명(인구대비86.7%), 3차32,524,158명(접종대상자대비76.3%)

  조치사항 : (중대본)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도입 및 활용 방안, 중앙부처 지원인력 파견연장 추진 현황 등 논의(본부장, 3.25.)

 

▲ 호우·강풍·풍랑 대처상황                      ※ 인명피해 없음(잠정)

- 피해현황(잠정) : 가로수 전도 13건, 신호등·표지판 전도 2건, 주택 외장재 탈락 6건, 유리창 파손 2건 등    ⇒ 응급조치 완료

     ※ 소방 안전조치(04시) : 배수지원 1개소 2톤, 안전조치 46건(주택 5, 토사낙석 1, 도로장애 11, 간판 4, 기타 25)

  통제현황(05시) : (국립공원) 5개 공원 154 탐방로(지리 53, 다도 44, 한려42, 한라 5 등)(여객선) 5개 항로 10척(인천-백령, 포항-울릉 등) (항공기) 234편 결항(제주 114, 김포 69 등)

  조치사항 :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지시사항* 전파(3.25.), 호우 등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3.25.), 초기대응반 가동(3.25. 10시~), 국민행동요령 안내(CBS, DITS), 재난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통보

      * 인명피해 제로화, 선제적 대응체계 가동, 산불피해지역 2차피해 예방조치 철저 등

   (해수부) 항만·어항 시설(타워크레인 등 750여개) 점검 및 조업선 안전조치

   (해경청) 원거리 조업어선 피행 유도, 항·포구 정박선박 계류상태 점검

   (산림청) 산불 피해지역 토사유출 등 2차 피해 대비 현장점검 및 대비태세 가동

   (지자체) 급경사지·공사장·해안가 위험지역 등 예찰, 전광판 등 홍보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발생현황(3.25.) : (양돈) 없음 (야생멧돼지) 3건(보은 2, 양구 1)

     ※ 확진(누계) : 양돈21건(경기9, 강원7, 인천5), 야생멧돼지2,426+3건(강원1,542+1, 경기666, 충북177+2,경북41)

     ※ 야생멧돼지 특별대책 추진 실적(누계, 10.13.~) : 포획10,126건(양성27건), 폐사체571건(양성281건)

  조치사항 : (농식품부) 상주, 김천 등 위험지역 농가의 강화된 방역시설 조기 설치 독려 및 ASF 전담관 전화예찰 실시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1.11.1.~)

  발생현황(3.25.) : (가금) 없음 (야생조류) 1건(강원 고성 1)

     ※ 확진(누계) : 가금46건(충남12, 전남11, 충북10, 전북7, 경기3, 세종2, 경남1), 야생조류65+1건(강원24+1, 경기12, 전북12, 충남5, 부산3, 전남3, 경남2, 서울1, 충북1, 경북1, 제주1)

  조치사항 : (농식품부) AI 재발 방지를 위해 발생농장에 대한 입식 전 교육·점검 등 재입식 기준 강화※ 환경검사, 2단계 방역점검(지자체→검역본부), 방역교육(검역본부) 후 최종 입식시험(21일) 결과에서 이상이 없는 경우 입식 허용

 

▲ 산불 대처상황                          ※ 위기경보 ‘주의’(’22.3.25.~)

- 발생현황(3.25.) : 없음

  연도별 통계(1.1.~3.25.) : ’19년277건(167.14㏊),’20년227건(638.92㏊),’21년158건(682.45㏊),’22년296건(22,233.48㏊)

  ⇒ 최근 3년(‘19~’21) 평균 발생건수(221건) 대비 134.1%, 피해면적(496.17㏊) 대비 4,481.0% 수준

 

  조치사항 : (산림청)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조정(경계→주의) 발령(3.25.)

 

▲ 주요사고

- (사업장사고) ① 10:12경/부산 연제구 거제동/빌딩(13/1층, 5,942㎡) 신축공사장 지하1층에서 주차타워 설치 중 작업자가 리프트에 끼임/사망 1명② 13:07경/서울 서초구 서초동/빌딩 신축공사장(12/4층, 2,655㎡) 지하3층에서 작업자가 도장작업 중 지하4층으로 추락/사망 1명③ 13:40경/경남 거제시 아주동/조선소에서 타워크레인 와이어 교체 작업 중 와이어가 추락(H=60m)하여 작업자를 덮침/사망 1명④ 16:34경/충북 청주시 오창읍/플라스틱 제조공장에서 작업자가 공장 설비 수리 중 끼임/사망 1명

  (화재) ① 19:42경/서울 성동구 옥수동/옥수역(지하철 3호선) 직원대기실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20:28)/건물 48㎡ 등 소실      ※ 인명피해 없음② 23:25경/충남 천안시 안서동/다세대주택(4/0층, 980㎡)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00:25)/경상 1명(소방공무원), 재산피해 조사 중③ 3.26. 00:00경/전남 영암군 서호면/단독주택(1/0층, 97㎡)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01:18)/사망 1명, 재산피해 조사 중

  (정전) 5건*, 약 52,084세대 발생    * 복구완료 4건, 금일 일부세대 복구예정 1건

    ※ ① 제주도 제주시 봉개동 562세대(19:43~20:53544세대, 3.26. 오전18세대 / 강풍으로 나무가 쓰러져 전선 단선)② 경기 광주시 퇴촌면 984세대(20:14~22:34 / 전봇대 가공개폐기 불량)③ 전남 보성군 벌교읍 308세대(21:15~22:50 / 조류둥지 접촉)④ 전남 영암군 삼호읍 230세대(22:18~02:58 / 강풍으로 이물질이 전선에 접촉)⑤ 경기 성남시 수정구 약 50,000세대(23:42~00:20, 변전소 내 전선 절연장치 파손)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81

1

3

791

864

220

5,260

5,319

350

30

❖헬기출동 : 7회(산악구조 1, 응급환자 3, 훈련비행 3) / 3명(구조 1, 구급 2)

❖구급상황관리 : 5,274회(의료지도 688, 대국민상담.지도 4,516, 조정 58, 헬기 4, 재외국민 6, 병원선정 2) 

❖생활안전조치 : 350회(동물포획 94, 소방시설비화재보 106, 잠금개방 34, 안전조치 34, 기타 82) 

 

◇ 화재진압

▲ (아파트) 서울 서대문구『○○아파트』

- 07:10~07:59, 세대 내부에서 발화 추정, 약 80㎡(320㎡그을음) 및 가재도구 소실

 

▲ (아파트) 경기 안양시『○○아파트』

- 15:58~16:27, 세대 내부에서 발화 추정, 내부 약 30㎡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역  사) 서울 성동구『○○역』

- 19:42~20:29, 역사 내부에서 발화 추정, 내부 약 48㎡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주  택) 전남 영암군『○○주택』

 - 00:00~01:18, 주택 내부에서 발화 추정, 사망 1명, 약 64㎡ 및 가재도구 소실

 

◇ 구조・구급・생활안전

▲ (안전사고) 충북 청주시『○○공장』

- 16:34~17:21, 기계 점검 중 기계에 끼임 추정, 사망 1명, 의료지도 및 경찰 인계

 

3월 26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안전을 넘어 정책의 기준 제시 ‘정책연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