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전 단계의 응급의료체계의 핵심인 119구급차는 응급환자를 위해 반드시 전문의료진에게 가야 한다.
‘응급실 뺑뺑이 사건’은 병원 수용이 되지 않아 구급차로 여기저기 병원을 돌아다니는 현상을 말한다.
응급실 뺑뺑이 사건을 막기 위한 중앙응급의료정책 추진단이 출범해 회의가 개최됐다.
이제야 응급실 뺑뺑이 사건이 문제로 인식됐다는 안타까움이 있다. 사실 1~2년 전부터 현장에서 근무하는 119구급대원들과 지역별 응급실 전문인력은 이미 문제를 느끼고 있었다.
그래서 이들끼리의 관계 문제인지, 병원의 시스템 문제인지 알아보고 어떻게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송체계 개선을 위한 응급의료기관과 현장 간담회 등 여러 방법으로 노력하기도 했다.
하지만 구조적인 큰 틀에서 해결되지 않다 보니 문제를 풀 수 있는 열쇠는 보건복지부에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로의 입장이 팽배한 상황에서 조율할 수 있는 곳은 보건복지부가 유일하다.
소방에서는 환자가 적절한 의료기관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병원 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Pre-KTAS)를 고려해야 한다.
병원에서는 진료 병상 확보와 파트별 의사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응급환자가 이송돼 온다면 기존 비응급환자를 지연시키더라도 응급환자부터 받는 걸 고려해야 한다.
그 밖에 특정 병원 응급실에 환자가 몰리는 과부하도 해결해야 한다. 필수 의료 공백 또한 의사 증원도 생각해야 할 거다.
결국 소방은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해야 하고 병원은 응급환자를 최대한 수용해야 한다는 거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18~2022년 119구급대 환자 재이송 건수는 3만7천여 건이다. 거절된 사유는 전문의 부재가 31.4%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병상 부족(15.4%)이었다.
‘지역응급의료협의체‘를 통해 소방본부와 지역 내 응급의료기관이 재이송하는 건수를 줄이며 응급환자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우리 119구급대원도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를 통해 근거리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이송 결정을 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응급의료 정책을 관장하는 보건복지부는 대한민국 모든 국민이 적시에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체계를 갖춰가도록 당부드린다.
둔산소방서 119구급대 소방장 박명하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