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월 2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4/01/02 [09:01]

1월 2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4/01/02 [09:01]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강원 평창군 LPG 충전소 화재 대처상황

- 사고개요: 20:41경/강원 평창군 용평면/LPG 충전소에서 가스 누출(추정) 후 미상의 원인으로 폭발·화재(완진 23:59)

     ※ 소방 대응1단계(21:26~1.2. 00:25)

- 피해현황: (인명) 부상 5명(중상2, 경상3) (재산) 건축물 14동·차량 14대 소실 등

     ※ 이재민 24명 발생, 응급구호세트 제공

- 조치사항: (행안부) 지자체 상황전파 및 대응 지시, 긴급단체문자 발송 등 (소방청) 연소확대 저지 및 화재진화 (지자체) 긴급재난문자 발송(4회), 현장상황관리관 파견, 현장통합지원본부·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등

 

 국외지진(일본 도야마현) 대처상황  ※ 지진방재관리과 자체 비상대응반 운영(’24.1.1. 16:40~)

- 발생개요: 1.1. 16시 10분 00초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쪽 90km 해역에서 규모 7.4(발생깊이 12km) 지진 발생

     ※ 지진해일 관측정보(관측지점, 최초도달시간, 최대높이): 남항진(강릉),18:01,20㎝ / 묵호(동해),18:06,67㎝ / 속초(속초),18:10,41㎝ / 임원(삼척),18:15,30㎝ / 후포(울진),18:52,18㎝

- 조치사항: (행안부) 지진해일 대비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공문),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지시사항* 전파(SNS), 강원·경북 등 부단체장 상황관리 철저(자연재난실장, 유선), 지진해일 대비 국민행동요령 전파(CBS, DITS)

     * 해안가 저지대 주민 대피 및 해안가 접근 금지, 해안가 근처 선박·어선관리 등 상황관리 철저

   (해경청) 동·남해 항행·조업선박 대상 안전계도, 레저·낚시객 등 안전지역 이동 등 연안 안전순찰 및 모니터링 강화

   (지자체) 지진해일 대비 해당 지자체별 국민행동요령 전파(CBS, 강원·경북·울산·부산) 및 비상근무 실시

     ※ 동해시(묵호항 최대높이 67cm)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1.1. 21:40~)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3.12.01.~)

- 발생현황(1.1.): 가금 및 야생조류 발생 없음

     ※ 확진(누계): 가금 25건(전북 18, 전남 6, 충남 1), 야생조류 12건(경북 7, 전북 3, 충남 1, 경남 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1.1.):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38건(경기17, 강원16, 인천5), 야생 멧돼지3,488건(강원1,889, 경기674, 충북453, 경북471, 부산 1)

 

 풍랑·너울·결빙 등 대처상황                        ※ 피해 없음(잠정)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아파트 화재 시 국민행동요령 안내 자막방송(DITS) 송출

     * (풍랑·너울) 어선 입‧출항 통제, 항포구 시설물 점검‧예찰, 해안가 및 갯바위 낚시객 대피계도 등(결빙) 초동제설 작업 철저, 주요 도로·상습교통두절지역 등 취약도로 관리 철저

 

 주요 사고

- (화재) ①05:27경/경북 울진군 울진읍/다세대주택(3/0층, 329㎡) 2층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06:21)/사망 2명, 경상 1명, 주택(59㎡) 소실 등

- (산불) 경북 경주시천북면(09:28~10:13/0.01ha/입산자 실화)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77

0

2

359

674

231

5,196

5,266

434

18

❖헬기출동: 8회(산악구조 7, 응급환자 1) / 8명(구조 7, 구급 1)

❖구급상황관리: 7,232회(의료지도 307, 대국민상담.지도 6,865, 이송병원선정 48, 헬기 8, 재외국민 4) 

❖생활안전조치: 434회(동물처리 136, 비화재보확인 162, 잠금장치개방 51, 안전조치 40, 기타 45) 

 

◇ 화재진압

 (주  택) 경북 울진군『다세대주택』

- 05:27~06:21, 3층 주택에서 원인 미상 화재, 세대 59㎡ 및 가재도구 등 소실

 

 (차  량) 서울 종로구『단독주택 마당』

- 11:21~12:30, 주차된 전기차에서 원인 미상 화재, 차량 전소 및 주택 일부 그을림

 

 (교  육) 경기 남양주시『○○고등학교』

- 15:40~16:02, 2층 특수교육실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교실 13㎡ 등 소실

 

 (충전소) 강원 평창군『○○가스충전소』

- 20:41~23:59, 가스누설에 의한 폭발 및 화재, 14개동 및 차량 12대 소실

 

 (아파트) 부산 영도구『○○아파트』

-23:56~00:50, 5층 세대에서 원인 미상 화재, 세대 일부 및 가재도구 등 소실

 

1월 2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