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국 각지의 건설현장에서 용접 작업 중 튄 불티(화염, 스패터)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히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이 초기 진압에 실패하거나 작업자의 부주의가 원인이 돼 막대한 인명ㆍ재산피해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은 구조물이 대부분 가연성 자재(단열재, 비닐, 목재, 우레탄폼 등)로 둘러싸여 있는 경우가 많아 용접 불티 한 점만으로도 급속한 연소 확대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고소작업이나 협소 공간 화재 상황에서는 대피가 어려워 인명피해 우려가 크다.
이러한 사고는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예방 가능한 ‘인재’다. 이는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준수해도 충분히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주요한 안전수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용접 전 화재위험물 제거와 방염포 설치다. 감시자는 용접 중 화재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근접 위치에서 상시 관찰해야 하며 작업 후에도 최소 30분 이상 감시를 유지해야 한다.
둘째, 초기 대응장비와 적절한 인력 배치다. 용접 위치 주변에는 반드시 소화기 또는 간이소화용구를 비치하고 사용법을 숙지한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
셋째, 작업 전 안전교육과 위험성 평가 철저다. 일용직 근로자나 외주업체 직원 포함 전 인원에 대해 작업 전 화재 위험ㆍ비상조치 교육을 시행해야 한다.
건설현장 내 화재는 단순한 재산 손실을 넘어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대한 사고다. ‘작은 불티가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는 경각심을 갖고 모든 작업자와 관리감독자가 ‘안전 우선’ 의 원칙을 실천할 때 비로소 재난을 막을 수 있다.
‘불은 장작으로 나고 화재는 불티로 난다’는 말이 있다. 오늘도 현장의 작은 불씨가 대형 사고로 번지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과 조치로 소중한 생명을 지키시길 당부드린다.
신안소방서 예방안전과 소방교 최성광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