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8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5/08/04 [09:01]

8월 4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5/08/04 [09:01]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8.3.~8.4.호우대처상황 ※ 호우위기경보 ‘경계’ 상향, 호우중대본2단계격상(8.3.23:30~)

- 인명피해(05시잠정): 없음  ※ 8.3.20:05경/전남무안군/굴삭기작업중급류에 휩쓸려 사망/자연재난인명피해여부확인중

- 시설피해(05시잠정): 없음

- 대피현황(04시30분잠정): 6개시·도,27개시·군·구,1,836세대 2,523명*(미귀가1,820세대2,498명)* (부산) 22세대 31명, (광주) 31세대 41명, (충남) 66세대 100명, (전남) 66세대 84명, (경북) 4세대 5명,    (경남) 1,647세대 2,262명 / 임시주거시설 1,726세대 2,353명, 친인척집 등 94세대 145명

- 통제상황(05시):(도로등) 도로67개소,지하차도16개소,야영장‧캠핑장54개소 (국립공원) 17개공원549개구간(북한산97,무등63,지리54 등) *호우에 따른탐방객안전(여객선) 3개 항로 4척(목포~홍도, 여수~거문 등) * 풍랑주의보

- 조치사항: (중대본‧행안부) 중대본2단계격상및중대본부장지시사항전파*(8.3.)8.3.~7일호우대비관계기관긴급점검회의(장관,8.3/재난안전관리본부장,8.2.), 하천·계곡, 하천 인근 야영장·캠핑장 등에 대한 안전 점검(8.3.),8.3.~7일호우대비 안전관리 철저(8.2. 공문), 강수·강풍‧풍랑 등재난예방활동및상황관리철저(NDMS), 호우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호우경보 발령지역중심으로 위험지역통제와 주민사전대피 철저, 호우대비 국민행동요령지속홍보, 현장대응 시 공무원 등 안전사고유의, 일시대피주민들은 안전성 확보후 귀가조치할 것 등

   (환경부) 홍수정보제공(128건), 홍수특보발령(13개소), 호우대비상황점검회의(8.3.)(농식품부)호우지역배수장(33개소)가동및저수지(2,017개소) 사전방류추진, 농업인단계별행동요령문자알림(8.2.~3.4.2만건),TV자막송출 등(산림청) 산사태위기경보전국‘경계’발령(8.3.13시~),호우대비산사태대응태세점검(8.3.),산사태예측정보제공및상황관리철저요청(유선)(소방청) 호우관련소방활동(인명구조 22건, 배수 지원 7건, 안전조치 454건)(경찰청)호우관련경찰관서재난상황실운영,초동대응팀등출동대비태세유지(지자체) 비상근무,인명피해우려지역(산사태취약지역,급경사지등)예찰 및홍보(재난문자등)

 

 7.16.~20.호우복구대책지원본부운영상황 ※범정부복구대책지원본부가동(7.20.18:00~)

- 인명피해(8.3.17시잠정): 29명(사망 27*,실종 2**) *경남14,경기8,충남3,광주2 / **경기1,경남1※ (실종자 수색, 7.16~8.3. 누계) 인력 22,742명, 장비 4,546대

- 응급복구(8.3.18시잠정): 총21,567건중19,702건완료(91.4%),1,865건추진중

   - 사유시설 11,081건중 10,225건*완료(92.3%)  ※ 농경지·농작물 피해는 응급복구 대상에서 제외* (유형별,대상/완료) 주택파손 487/393, 주택침수 4,708/4,589, 상가‧공장침수 3,422/3,037 등

   - 공공시설 10,486건 중 9,477건*완료(90.4%)* (유형별,대상/완료) 소규모시설 3,099/2,944, 도로‧교량 1,240/1,191, 하천 1,056/909, 산사태 1,066/885 등  

    ※ (투입 현황, 7.19∼8.3.): (인력) 100,421명(자원봉사 54,686, 군인 45,735), (장비) 33,850(굴착기 21,568 등)  

  구호활동(8.3.17시잠정)

   - (미귀가) 8개 시‧도, 34개 시‧군‧구, 570세대 916명* * 서울11/25, 광주12/23, 경기114/185, 충남208/315, 전남2/3, 경남217/357, 강원1/1, 전북5/7※ (총 대피현황) 15개 시·도 100개 시·군·구, 11,084세대 15,968명

   - (임시주거시설) 427세대 703명* (친인척집 등) 143세대 213명* 마을회관 104/160, 경로당 60/94, 학교 93/134, 공공시설 23/36 등

- 조치사항: 특별재난지역선포*(7.22.), 호우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7.21.~, 4개** 지역)* 경기가평군,충남서산시‧예산군,전남담양군,경남산청‧합천군  / ** 경남 산청군, 충남 예산군, 광주‧전남 광주광역시, 경기 가평군  

- 향후계획:복구계획(안) 관계부처 협의 및 중대본 심의‧확정(8월중)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심각’ 발령 및 중대본 1단계 가동(7.25.14:00~)

- 인명피해(8.2):온열질환 87명(사망1명)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8.2.): (’25년) 온열질환 3,127명(사망 19)/ (전년 동기) 1,409명(사망 11) / 조기감시기간(‘25.5.15~5.19.)16명* 8.2. 17:47경 경기 파주시, 집에서 고열 및 의식 없는 상태로 발견 / 18:47경 사망(남, 50대)

- 재산피해:(가축7.31.기준)530마리*(돼지47, 가금483) (양식8.2.기준) 416마리 ※ 누계(5.20~8.2.): 가축피해 1,458,420마리(돼지61,719, 가금1,396,701) / 양식피해 65,816마리*신고접수기준으로조사후변동가능(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양식 해수부신고) / 전년동기249,893마리(돼지 19,224, 가금 230,669)

- 조치사항:(중대본‧행안부) 폭염 대비 현장점검(중대본부장 8.1. 경기가평*/재난안전관리본부장 8.1. 전북 진안‧전주**)*피해복구 현장근로자 온열질환 및 안전사고 예방 등 당부    **민관협업 생수나눔 및 이동노동자쉼터 운영상황 점검

   - 폭염 대처 관련 대통령 국무회의 당부사항 전파(7.29.), 중대본부장 폭염대처상황 점검회의 및 지시사항 전파(7.28.), 폭염특보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 지시(공문,7.24.)

 

▲ 8.4.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6~17시)에 최대 91.7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105.2GW → 공급예비력13.5GW(14.7%), 운영예비력*10.1GW(11.0%)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주요 사고 

- (화재)8.3.12:42경/경북영천시금호읍/화장품원료제조공장(9개동,3/1층,5,913㎡)에서 원인미상의 폭발(추정)로 화재 발생, 인근공장으로연소확대(완진21:53)/부상3명(중상1,경상2),실종1명(수색 중)※ 자력대피 12명 / 소방대응1단계(13:07~21:53) / 연기주의 및 주민대피안내등 재난문자송출(4회) /    소방용수 등 하천 유입 차단 조치

- (사업장사고) 8.3. 11:24경 / 제주도 제주시 도두이동 / 하수종말처리장 공사현장(건물구조:지상2층,지하3층)지하1층에서작업자가미생물공기주입테스트중 황화수소*에 의한 중독 / 중상 1명, 경상 3명* 흡입, 섭취, 피부 흡수 시 매우 치명적, 극인화성 물질, 공기와 결합 시 폭발 위험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97

0

6

992

964

217

4,649

4,699

2,099

37

❖헬기출동: 8회(산악구조1, 응급환자3, 화재진화3, 훈련비행1) / 4명(구조1, 구급3) 

❖구급상황관리: 5084회(의료지도 433, 대국민상담.지도 4542, 이송병원선정 98, 헬기 4, 재외국민 7) 

❖생활안전조치: 2099회(동물처리 153, 비화재보확인 296, 잠금장치개방 53, 안전조치 54, 기타 1543) 

 

◇ 화재진압

 (공    장) 전북 정읍시『○○○○○에너지』

- 06:00~07:52, 공장 내 1층 창고동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로 위험물(황산) 저장탱크 일부 소실되어 황산 누출, 창고동 전소 및 농황산 4톤 등

 

 (선    박) 강원 삼척시『○○항』

- 07:59~08:17, 유증기 폭발에 의한 화재, 중상 1명, 선박 1.95톤 전소

 

 (공    장) 경북 영천시『○○산업』

- 12:42~21:53, 원인 미상의 화재, 부상 3명, 실종 1명, 공장 전소

 

 (공동주택) 충북 청주시『○○○○○○○○아파트』

- 14:42~14:50, 전 배우자(여)가 주거지 무단침입 후 주방 바닥에 방화 추정 화재, 경상 1명, 주방 바닥 1㎡ 그을음

 

◇ 구조/구급

 (추락사고) 강원 인제군『○○산 장수봉』

- 11:07~15:44, 설악산 장수대 몽유도원도 정상에서 암벽등반 중 추락했다는 신고, 사망 1명, 경찰 인계

 

 (안전사고) 제주 제주시『○○○○처리장 공사장』

- 11:24~12:32, 지하 1층에서 ‘작업 중 사람이 쓰러졌다’는 신고, 부상 4명, 구조 후 응급처치 및 병원 이송

 

8월 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COMPANY+
[COMPANY+] “10초 만에 덮고 노즐로 냉각”… 전기차 화재 솔루션, (주)더세이프코리아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