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8.3.~8.4.호우대처상황 ※ 호우위기경보 ‘경계’ 및 중대본2단계 가동(8.3.23:30~) - 인명피해(05시잠정): 없음 ※ 8.3.20:05경/전남무안군/굴삭기작업중급류에 휩쓸림/자연재난인명피해여부확인중 - 시설피해(05시잠정): 공공시설 70건*, 사유시설 88건** ※ 지자체 피해 현황 조사 중 * 도로침수 38, 수목전도 11, 정전 2 등 / ** 건물침수 54, 단수 32, 가축폐사 2 - 대피현황(04시잠정): 9개시·도,33개시·군·구,2,164세대 3,049명(미귀가 61세대 78명*) * (울산) 1세대 1명, (충남) 1세대 1명, (전남) 42세대 54명, (경남) 17세대 22명 / 임시주거시설 59세대 76명, 친인척집 등 2세대 2명 - 통제상황(05시): (도로등) 도로7개소,하상도로35개소,야영장‧캠핑장26개소 (국립공원) 6개공원165개구간(무등61,지리54 등) *호우에 따른탐방객안전점검 - 조치사항: (중대본‧행안부) 중대본2단계격상및중대본부장지시사항전파*(8.3. 2건)8.3.~7일호우대비관계기관긴급점검회의(장관,8.3/재난안전관리본부장,8.2.),8.3.~7일호우대비 안전관리 철저(8.2. 공문), 강수·강풍‧풍랑 등재난예방활동및상황관리철저(NDMS), 호우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 호우경보 발령지역중심으로 위험지역통제와 주민사전대피 철저, 호우대비 국민행동요령지속홍보, 현장대응 시 공무원 등 안전사고유의, 일시대피주민들은 안전성 확보후 귀가조치할 것 등 (농식품부)호우지역배수장(180개소)가동및저수지(2,028개소) 방류추진, 농업인단계별행동요령문자알림(2.1만건),TV자막송출 등(산림청) 산사태위기경보전국‘경계’발령(8.3. 13시~),호우대비산사태대응태세점검(8.4.),산사태예측정보제공및상황관리철저요청(유선)(소방청) 호우관련소방활동(인명구조 23건, 배수 지원 17건, 안전조치 594건)(지자체) 비상근무,인명피해우려지역(산사태취약지역,급경사지등)예찰 및홍보(재난문자등)
▲ 7.16.~20.호우복구대책지원본부운영상황 ※범정부복구대책지원본부가동(7.20.18:00~) - 인명피해(8.4.17시잠정): 29명(사망 27*,실종 2**) *경남14,경기8,충남3,광주2 / **경기1,경남1 ※ (실종자 수색, 7.16~8.3. 누계) 인력 22,742명, 장비 4,546대 - 응급복구(8.4.18시잠정): 총21,628건중20,010건완료(92.5%),1,618건추진중 - 사유시설 11,136건중 10,332건*완료(92.8%), 공공시설 10,492건 중 9,678건*완료(92.2%) ※ (투입 현황, 7.19∼8.4.): (인력) 102,436명(자원봉사 55,243, 군인 47,193), (장비) 35,054(굴삭기 22,392 등) - 구호활동(8.4.17시잠정) - (미귀가) 8개 시‧도, 34개 시‧군‧구, 553세대 891명* * 서울11/25, 광주12/23, 경기106/169, 충남200/308, 전남1/1, 경남217/357, 강원1/1, 전북5/7 ※ (총 대피현황) 15개 시·도 101개 시·군·구, 11,093세대 15,980명 - (임시주거시설) 425세대 703명* (친인척집 등) 128세대 188명 * 마을회관 95/156, 경로당 59/92, 학교 92/134, 공공시설 23/36 등 - 조치사항: 경남 지역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7.21.~)* 3개 권역(충남, 광주‧전남, 경기)은 지자체 자체 운영(8.2.~) - 향후계획: 복구계획(안) 관계부처 협의 및 중대본 심의‧확정(8월중)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심각’ 발령 및 중대본 1단계 가동(7.25.14:00~) - 인명피해(8.3):온열질환 36명(사망없음)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8.3.): (’25년) 온열질환 3,200명(사망 19)/ (전년 동기) 1,592명(사망 16) / 조기감시기간(‘25.5.15~5.19.)16명 - 재산피해(8.3):(가축)4,216마리(돼지12, 가금4,204) (양식) 5,281마리 ※ 누계(5.20~8.3.): 가축피해 1,466,271마리(돼지66,894, 가금1,399,377) / 양식피해 70,917마리*신고접수기준으로조사후변동가능(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양식 해수부신고) / 전년동기303,111마리(돼지 25,848, 가금 277,263) - 조치사항:(중대본‧행안부) 폭염 대비 현장점검(중대본부장 8.1. 경기가평*/재난안전관리본부장 8.1. 전북 진안‧전주**)*피해복구 현장근로자 온열질환 및 안전사고 예방 등 당부 **민관협업 생수나눔 및 이동노동자쉼터 운영상황 점검 - 폭염 대처 관련 대통령 국무회의 당부사항 전파(7.29.), 중대본부장 폭염대처상황 점검회의 및 지시사항 전파(7.28.), 폭염특보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 지시(공문,7.24.)
▲ 8.5.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6~17시)에 최대 88.5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106.2GW → 공급예비력17.7GW(20.0%), 운영예비력*9.8GW(11.1%)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주요 사고 - (화재) 8.4. 13:35경/서울 강동구 성내동/근린생활시설(9/2층, 5,797㎡) 3층 산후조리원 린넨실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6:47)/린넨실 일부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산모 13명, 신생아 11명, 직원 및 관계자 15명 대피 완료) / 관계자 신고 - (사업장사고) 8.4. 13:34경/경기 광명시 옥길동/광명~서울고속도로* 연장 공사현장 양수기 설치 작업 중 작업자가 감전/중상(심정지) 1명(30대, 미안마 국적) * (발주처)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시행사) 서서울고속도로(주) (시공사) 포스코이앤씨 / ’19년 3월 착공, 총 20.2km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0회(응급환자4, 훈련비행6) / 4명(구급)) ❖구급상황관리: 3609회(의료지도 213, 대국민상담.지도 3286, 이송병원선정 90, 헬기 4, 재외국민 16) ❖생활안전조치: 2793회(동물처리 208, 비화재보확인 331, 잠금장치개방 57, 안전조치 102, 기타 2095)
◇ 화재진압 ▲ (기 타) 서울 성북구『○○인도 상 전신주』 - 07:56~08:16, 가로수 전지 작업 중 잘려진 나뭇가지 파편이 인근 전신주 전선과 접촉하여 화재, 경상 1명
▲ (주 택) 강원 태백시『단독주택』 - 08:57~09:07, 주택 내 부엌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경상 1명
▲ (주 택) 광주 북구『단독주택』 - 13:10~13:20, 주택 마당에서 부주의 추정 화재, 경상 1명
▲ (산후조리원) 서울 강동구『○○ 산후조리원』 - 13:35~16:47, 원인 미상의 화재, 조사 중
▲ (복합건축물) 광주 서구『○○빌딩』 - 18:52~20:14, 빌딩 내 공실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조사 중
◇ 구조/구급 ▲ (안전사고) 경기 광명시『○○고속도로 연장공사 현장』 - 13:34~14:13, 공상 현장에서 감전사고 추정, 중상 1명, 응급처치 및 병원 이송
8월 5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