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8월 7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5/08/07 [09:08]

8월 7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5/08/07 [09:08]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8.3.~8.7.호우대처상황     ※ 호우위기경보 ‘경계’ 및 중대본2단계 가동(8.3.23:30~)

- 인명피해(05시잠정): 없음   ※ 8.3.전남무안군/굴삭기작업중급류에 휩쓸려사망/자연재난피해확인중

- 시설피해(05시잠정): 공공시설 109건*, 사유시설 447건** ※ 지자체 피해 현황 조사 중

     * 도로침수 63, 수목전도 21, 하천시설 16 등 / ** 건물침수 419, 단수 24, 가축폐사 2 등

- 대피현황(8.6.~/04시잠정): 5개 시·도, 10개시·군·구, 1,202세대 1,667명(미귀가 1,199세대 1,662명*)

     * (부산) 19세대 28명, (광주) 2세대 2명, (전남) 39세대 42명, (경남) 1,139세대 1,590명

     / 임시주거시설 1,067세대 1,447명, 친인척집 등 132세대 215명

 

 (8.3.~4. 호우 대피현황) 일시대피 : 9개 시·도, 33개 시·군·구, 2,164세대 3,049명(미귀가 19세대 24명*)

    * (울산) 1세대 1명, (충남) 1세대 1명, (전남) 15세대 20명, (경남)2세대 2명 임시주거시설 : 18세대 23명,  친인척집 등 1세대 1명

- 통제상황(05시):(국립공원) 3개공원120개구간(무등 61,지리35 등)  *호우에 따른 탐방로 안전점검

- 조치사항: (중대본‧행안부) 8.3~4. 호우 피해지역(전남 무안‧함평) 현장 점검(중대본 차장, 8.6.), 중대본부장 긴급 지시사항* 전파(공문, 8.5.)

    * 8.6. 새벽부터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 야영객 등에 대피 필요성 사전 적극 안내,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찰‧점검을 강화, 피해 우려지역 사전통제 및 사전대피 적극 시행, 국민행동요령 적극 홍보 등

   - 8.6.~7일 호우 대비 중대본 회의(중대본 차장, 8.5.), 8.3.~7일 호우 대비 관계 기관 긴급 점검회의(장관,8.3/재난안전관리본부장,8.2.)

   - 8.6.~7일호우대비 안전관리 철저(8.5. 공문), 강수·강풍‧풍랑 등재난예방활동및상황관리철저(NDMS), 호우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농식품부)호우지역배수장(110개소)가동및저수지(1,804개소) 방류추진(산림청) 산사태위기경보전국‘경계’발령(8.3. 13시~)(소방청) 호우관련소방활동(인명구조 23건, 배수 지원 20건, 안전조치 621건)(지자체) 비상근무,인명피해우려지역(산사태취약지역,급경사지등)예찰 및홍보(재난문자등)

 

 7.16.~20.호우복구대책지원본부운영상황 ※범정부복구대책지원본부가동(7.20.18:00~)

- 인명피해(8.6.17시잠정): 29명(사망 27*,실종 2**) *경남14,경기8,충남3,광주2 / **경기1,경남1 ※ (실종자 수색, 7.16~8.6. 누계) 인력 23,582명, 장비 4,774대

- 응급복구(8.6.18시잠정): 총21,839건중20,872건완료(95.6%),967건추진중

   - 사유시설 11,246건중 10,812건*완료(96.1%), 공공시설 10,593건 중 10,060건*완료(95.0%)

    ※ (투입 현황, 7.19∼8.6.): (인력) 106,311명(자원봉사 57,302, 군인 49,009), (장비) 37,331(굴삭기 23,985 등)

- 구호활동(8.6.17시잠정)

   - (미귀가) 7개 시‧도, 30개 시‧군‧구, 530세대 857명* * 서울6/16, 광주9/16, 경기106/166, 충남192/292, 전남1/1, 경남211/359, 전북5/7 ※ (총 대피현황) 15개 시·도 100개 시·군·구, 11,115세대 16,012명

   - (임시주거시설) 390세대 654명* (친인척집 등) 140세대 203명 * 마을회관 99/155, 경로당 34/57, 학교 92/130, 공공시설 21/42 등

- 조치사항: 특별재난지역 추가 선포*(8.6.), 경남지역 피해자 통합지원센터 운영**(7.21.~)* 광주 북구·충남 아산 등 36개 지역   ** 3개 권역(충남, 광주‧전남, 경기)은 지자체 자체 운영(8.2.~)  

- 향후계획:복구계획(안) 관계부처 협의 및 중대본 심의‧확정(8월중)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심각’ 발령 및 중대본 1단계 가동(7.25.14:00~)

- 인명피해(8.5):온열질환 58명(사망1명*)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8.5.): (’25년) 온열질환 3,291명(사망 20)/ (전년 동기) 1,836명(사망 19) / 조기감시기간(‘25.5.15~5.19.)16명

       * 8.5. 13:37경 / 인천 부평구, 부평역 근처에서 의식이 없는 상태로 발견 / 15:29경 사망(여, 77세)

- 재산피해(8.5):(가축)2,840마리(돼지904, 가금1,936) (양식) 6,689마리 ※ 누계(5.20~8.5.): 가축피해 1,501,519마리(돼지75,062, 가금1,426,457) / 양식피해 103,990마리*신고접수기준으로조사후변동가능(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양식 해수부신고) / 전년동기423,829마리(돼지 30,761, 가금 393,068)

- 조치사항:(중대본‧행안부) 폭염 대비 현장점검(중대본부장 8.1. 경기가평*/재난안전관리본부장 8.1. 전북 진안‧전주**)*피해복구 현장근로자 온열질환 및 안전사고 예방 등 당부    **민관협업 생수나눔 및 이동노동자쉼터 운영상황 점검

   - 폭염 대처 관련 대통령 국무회의 당부사항 전파(7.29.), 중대본부장 폭염대처상황 점검회의 및 지시사항 전파(7.28.), 폭염특보에 따른 안전관리 철저 지시(공문,7.24.)

 

▲ 8.7.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8~19시)에 최대 87.7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104.3GW → 공급예비력16.6GW(19.0%), 운영예비력*8.7GW(10.0%)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주요 사고 

- (수난사고) 8.6.09:43경/강원원주시지정면/섬강(수심 2미터 내외)에서 일행 3명이 다슬기채취중 2명 익수/사망2명(남,66세‧남, 65세) ※ 구명조끼 미착용

- (가스안전) 8.6.12:35경/ 인천시 연수구 송도동 / LPG 수입판매업체의 가스저장시설에서 가스 이송 배관의 연결부위 파손으로 가스 누출

     ※ 인명피해 없음 / 재난문자 송출 1회(인근 지역 접근 자제 안내) / 누출 부위 전‧후단 밸브 차단 완료(14:04)

- (철도안전) 8.6. 9:59경/세종시 금남면/장재터널(공주~오송역 사이)에서 KTX-산천열차(익산→용산)가 고장으로 멈춤(4시간 19분 지연) 

     ※ 인명피해 없음 / 오송역으로 고장열차 견인 후 승객(838명)은 대체열차로 환승 / 지연시간 중 냉방 시설은 정상 가동 / 사고 여파로 13개 고속열차(KTX 9, SRT 4) 13~51분 지연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59

-

1

3,621

806

211

4,844

4,901

2,157

33

❖헬기출동: 5회(응급환자1, 훈련비행4) / 1명(구급) 

❖구급상황관리: 3,287회(의료지도 394, 대국민상담.지도 2,797, 이송병원선정 75, 헬기 1, 재외국민 20) 

❖생활안전조치: 2,157회(동물처리 170, 비화재보확인 322, 잠금장치개방 47, 안전조치 87, 기타 1,531) 

 

◇ 화재진압

 (아파트) 대전 서구『○○아파트』

- 07:33~07:51, 세대 주방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경상 1명, 조사 중

 

 (교육연구시설) 부산 금정구『○○학교』

- 14:09~14:19, 학교 실험실에서 자연발화 추정 화재, 실험실 등 소실 

 

 (차  량) 부산 북구『○○터널』

- 20:17~20:31, 주행 중이던 차량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차량 엔진룸 소실 등

 

◇ 구조/구급

 (수난사고) 강원 원주시『○○강』

- 09:43~12:08, 다슬기 채취 중 익수 사고 추정, 사망 2명,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안전사고) 인천 연수구『○○기지』

- 12:35~14:57, 저장시설과 LNG 기지를 잇는 배관에서 프로판가스 누출, 현장 안전 조치 및 조사 중

 

8월 7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COMPANY+
[COMPANY+] “10초 만에 덮고 노즐로 냉각”… 전기차 화재 솔루션, (주)더세이프코리아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