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숭례문 방화사건을 계기로 주요 문화재에 상주 관리인력을 배치하고 자동경보시스템을 확충하는 등 안전대책을 대폭 강화했다.
서울시는 지난 13일 중요문화재, 한강교량 등 주요시설물 469곳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고 372억원을 투입, 시설물별 특성에 따른 안전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지난달까지 흥인지문, 서울동묘 등 중요문화재 19곳에 75명의 인력을 추가 투입, 총 130명이 24시간 교대로 상주하며 관리하게 했고 야간 등 취약시간대 순찰 횟수도 기존 1회에서 5회로 늘렸다. 또한 기존 31대였던 cctv는 90대로, 첨단화재감지기는 24개에서 84개로, 24곳에만 설치됐던 무인경비시스템도 60곳으로 늘렸을 뿐 아니라 단 1곳에 있던 자동경보시스템도 89개 시설물에 확대 설치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방화 대비를 위해 천장부 투명 방화유리막 및 화재연소방지 수막설비를 구축하는 방안을 문화재청과 협의중이고 누가, 언제, 어떻게 순찰과 점검을 실시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순찰관리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문화재, 지하상가 등 중요시설은 화재나 외부침입이 발생한 경우 서울종합방재센터에서 현장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자동경보시스템과 유관기관 전파 시스템 구축과 특수화재 진압을 위한 다굴절 파괴 방수차 등의 첨단장비 도입도 검토되고 있다. 서울시는 7월까지 주요 공공시설물 67곳과 민간시설물 83곳의 설계도면·위치도 등 재난 발생시 필요 자료를 현장과 시설물관리부서, 관할소방서에 비치하고 재난현장에서의 지휘체계 일원화를 위해 서울방재센터-재난현장-대응인력간 일원화된 통신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올해 224억원, 내년 148억원 등 총 372억원을 도시시설물 안전종합대책에 투입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예산은 추경예산과 예비비,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