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0월, 산악사고 가장 많이 발생… ‘주의’

산악 구조활동 연평균 9890건, “일몰 이전 하산 등 사고 예방에 신경써야”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1/10/05 [20:00]

10월, 산악사고 가장 많이 발생… ‘주의’

산악 구조활동 연평균 9890건, “일몰 이전 하산 등 사고 예방에 신경써야”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1/10/05 [20:00]

[FPN 박준호 기자] = 소방청이 1년 중 10월이 산악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소방청(청장 신열우)에 따르면 최근 3년간(’18~’20년) 산악 구조활동은 총 2만9672건으로 연평균 9890건에 달한다. 실족ㆍ추락이 6996건(23.5%)으로 가장 많았고 조난 6972(23.4%), 심장마비 등 질환 2742(9.2%), 탈진ㆍ탈수가 1588건(5.4%)으로 뒤를 이었다.

 

월별로는 10월이 4153건(14%)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선선한 날씨와 함께 단풍철을 맞아 등산객이 증가하는 게 원인이라고 소방청은 설명했다.

 

소방청은 산악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미리 기상 예보 확인 ▲여벌 옷과 음료, 간식 등 준비 ▲등반 전 충분히 몸풀기 ▲본인의 체력에 맞는 등산로 선택 ▲일몰 시간 이전 하산 ▲고령자나 심혈관계 질환자, 홀로 산행 삼가 ▲조난 시 등산로에 배치된 산악위치표지판이나 국가지점번호 파악 등을 제시했다.

 

배덕곤 119구조구급국장은 “산에서 사고가 나면 119구조대가 현장에 도착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산에도 어려움이 많아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산행 전 충분히 준비하고 추락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경 써달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