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호우·강풍·풍랑 등 대처상황 ※ 중대본 1단계(9.20. 09:30), 중대본 2단계(9.21. 01:00~23:00) - 피해상황(05시, 잠정): (인명피해) 없음 (공공시설) 162건(도로침수 107건, 토사유출 21건, 옹벽붕괴 1건 등) (사유시설) 231건(주택침수 170건 등) (농작물) 도복 침수 4,116ha(벼 3,831, 상추 84 등) ※ 인명구조 25건 44명, 소방활동 3,828건(배수 지원 408, 안전조치 3,420) 통제상황(05시): (여객선) 34개 항로 47척 (국립공원) 16개 공원 493 구간(지하차도) 32개소 (둔치주차장) 141개소 (하천변) 3,561개소 등 대피현황(잠정): 7개시도 46개시군구, 1,014세대 1,501명(미귀가 455세대 682명*) * 부산(4개구 24세대 50명), 충북(2개 시군 2세대 3명), 충남(8개 시군 7세대 9명), 전남(9개 시군 31세대 47명), 경북(10개 시군 130세대 196명), 경남(11개 시군 260세대 374명), 전북(1개 시군 1세대 3명) 구호현황: (임시주거시설) 405세대 595명 제공 ※ 친인척집 50세대 87명 (구호물자) 응급구호 세트 168개, 취사구호 세트 1개, 칸막이 30동 등 조치사항: (행안부) 대통령 지시사항 전파(공문, 9.21.), 국무총리 주재 호우대처 상황 점검회의 개최(9.21. 16:30) 및 집중호우 관련 지시사항 전파(공문, 9.21.), 중앙대책본부 비상2단계(격상 9.21. 01:00, 해제 23:00) 및 중앙대책본부장 지시사항 통보(공문, 9.21.) - 누적강우에 따른 취약지역·시설 긴급점검 및 안전조치 철저 요청(공문, 9.21.) 등
< 대통령 지시사항: 태풍 및 호우대비·대응 중점사항 추진철저(9.21.) > 취약지역·시설에 대해 과감할 정도로 선제적으로 통제하고,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피시킬 것 읍면동 공무원, 이통장을 중심으로 예찰을 강화하고, 취약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위험상황 전파 대조기와 강풍의 영향으로 조위 상승 등이 예상되므로 해안가 저지대, 갯바위, 주차장 등 위험지역에서 안전관리 철저할 것 등 < 국무총리 지시사항(9.21.) > 각 지자체는 전 행정력을 동원, 취약 지역에 대한 주민 진입 차단과 철저한 예찰을 실시하고, 선제적으로 주민들을 대피시킬 것 누적된 강수로 인한 홍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호우가 끝날때까지 담당 공무원을 상시 배치하여 철저히 대비할 것 < 중앙대책본부 2단계 격상에 따른 중앙대책본부장 지시사항(9.21.) > 지하차도, 산사태 우려지역 등 취약지역·시설에 대해 과감할 정도로 선제적으로 통제하고, 인근 주민들을 대피시킬 것 위험지역 접근금지, 강수 집중 시간대 외출 자제 등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재난 정보를 국민께 신속히 전파할 것 피해 발생 지역은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여 신속히 복구하고,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에 철저를 기할 것
- (농식품부) 침수 대비 배수장(698개소) 가동 및 저수지(233개소) 수위조절 방류 등(9.21.) - (환경부) 수위정보 제공(462건), 호우 대비 상황점검회의(장관주재, 9.21.) - 해수부) 안전조업 문자 발송(55,986명) (산림청) 산사태 예보 발령 - (지자체) 비상근무(총28,608명), 인명피해 우려지역 예찰(20,452개소)·홍보 활동 (K-water, 한수원) 댐 수문(발전포함) 방류를 통한 홍수 수위조절 ※ 46개 댐 중 11개 댐 방류 중(9.22. 05시 기준)
▲ 주요 사고 - (수난사고) 9.21. 19:39경/전남 장흥군 장흥읍/마을 인근에서 급류(구거)에 빠져 익수/실종자 1명(수색 중) ※ (3H 누적강수량) 71.5㎜(일강수량) 231.6㎜ (시설물안전) 9.21. 08:45경/부산 사상구 학장동/지하철 공사장 인근 도로에서 씽크홀 발생(9.22. 되메우기 예정)/차량파손 2대 ※ 인명피해 없음 ※ (조치사항) 호우로 인한 도로침하 발생 관련 상황관리 철저 지시(전국 지자체, 국토안전관리원 등) (건축물안전) 9.21. 22:04경/경남 창원시 산호동/빌라(5동, 4/0층) 3~5동 뒤편 옹벽(길이 약 50m, 높이 약 3m 추정)이 무너지며 건물에 접촉, 옹벽 추가 붕괴 우려 ※ 인명피해 없음, 30세대 54명 대피(행정복지센터 강당, 친인척집) ※ (일 강수량) 397.7㎜, (2일 누적강수량) 529.4㎜ / ‘05. 5.19. 사용승인 건축물(조치사항)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빌라주변 통제선 설치, 주민 출입 통제 / 옹벽 추가 붕괴 저지를 위해 일부 구간 임시구조물(H빔) 설치 및 향후 조치계획 논의(9.22. 예정) (선박건물 침수) 9.21. 23:52경/서울 서초구 잠원동/한강공원에 있는 3층짜리 선박 건물이 부력상실(원인 미상)로 1층 식당 일부 침수 및 10도 정도 기울어짐(물을 주입해 균형을 맞추는 작업 실시) ※ 인명피해 없음(영업시간 종료로 건물은 비어 있는 상황)
◆ 럼피스킨(LSD) 및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 없음(9.21.)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 2회(응급환자1, 훈련비행1) ❖구급상황관리 : 3,881회(의료지도 313, 대국민상담.지도 3,502, 이송병원선정 61, 헬기 1, 재외국민 4) ❖생활안전조치 : 1,680회(동물처리 182, 비화재보확인 450, 잠금장치개방 54, 안전조치 293, 기타 701)
◇ 화재진압 활동 ▲ (주 택) 대전 중구『○○타운』 - 07:59~08:35, 거주자가 번개탄 자살 시도 중 화재 발생, 부상 5명(중상 1명, 경상 4명)
▲ (공 장) 경남 김해시『○○직물』 - 11:06~17:12, 공장 내 작업장에서 원인 미상 화재, 공장 건물 1동 전소 및 내부 재고자산 그을음 등
▲ (차 량) 서울 도봉구『○○아파트 후면』 - 14:36~15:02, 차량(SM5) 내부에 번개탄을 피워 화재 발생, 경상 1명, 차량시트 소실 등
▲ (상 가) 경북 포항시『○○라인』 - 18:02~19:06, 1층 가스통 부근 방화(추정), 중상 1명, 컨테이너 전소 및 에어컨, 집기류 등 소실
▲ (가스폭발) 『○○공장』 - 11:43~11:47, 빈 드럼통(200L) 산소절단기 이용 절단 작업 중 유증기 폭발(추정), 사망 1명
◇ 구조/구급 활동 ▲ (안전사고) 경기 부천시『○○역』 - 08:03~09:12, 요구조자가 열차에 부딪혀 철로 옆에 누워 있는 상태, 중상 1명
▲ (추락사고) 부산 사상구『○○스틸 앞』 - 08:45~15:20, 지하철 2공구(사상하단선) 학장동 구역 땅꺼짐(10m×5m×깊이8m), 차량 2대(5톤 트럭, 소방배수지원차) 추락, 주변 도로 통제 및 차량 인양
9월 22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