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소방 위험물 자격 신설 연구 추진 두고 소방기술사회 “근시안적 발상” 반발

“설계 등은 기술사ㆍ기사가 참여하고 저장ㆍ관리는 기능장ㆍ기능사가 맡아야“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5/08/18 [18:52]

소방 위험물 자격 신설 연구 추진 두고 소방기술사회 “근시안적 발상” 반발

“설계 등은 기술사ㆍ기사가 참여하고 저장ㆍ관리는 기능장ㆍ기능사가 맡아야“

최누리 기자 | 입력 : 2025/08/18 [18:52]

▲ 소방관들이 위험물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FPN

 

[FPN 최누리 기자] = 소방청이 위험물 안전 분야의 국가 자격 신설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하자 한국소방기술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들은 기존 전문 인력을 외면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정책이라는 주장하며 연구용역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소방기술사회(회장 박경환, 이하 기술사회)는 지난 13일 성명을 통해 “해당 용역에선 위험물 자격 신설을 사실상 확정하는 결과를 요구하고 평가 방법까지 첨부하도록 했다”며 “이미 배출된 소방 전문 인력을 활용하지 않고 중복되는 위험물 자격 신설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소방청은 이달 6일 ‘위험물 분야 국가기술ㆍ전문 자격 신설 타당성 검증’ 연구용역을 조달청 나라장터에 긴급 공고했다. 해당 연구용역은 현행 위험물기능사ㆍ산업기사ㆍ기능장 등 기존 국가기술자격 외 위험물기술사ㆍ기사, 위험물시설관리사와 같은 새로운 국가기술 또는 전문 자격의 신설 타당성을 검토하는 게 주요 골자다. 

 

이를 두고 기술사회는 “위험물의 화학적 특수성만을 이유로 별도 기술사를 만들어야 한다는 착안은 숲이 아닌 나무 한 그루만 보겠다는 근시안적 발상”이라며 “어느 선진국도 위험물 전용 기술사를 두지 않고 기존 엔지니어를 활용한다”고 주장했다.

 

또 “위험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위험물청을 신설하면 득보단 실이 막대할 것”이라며 “자격자만 참여하는 면허제도를 갖추면 법령 제ㆍ개정부터 시험제도 설계, 교육과정 개발, 초급 인력 배출까지 최소 수년이 소요되고 이렇게 양성된 인력이 전문성을 갖추려면 다시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소방인력은 이미 위험물 안전ㆍ소방시설 관련법을 토대로 종사하고 있다”면서 “소방기술자에게 위험물산업에 특화된 추가 강습과정을 제공하면 그 즉시 빈틈없는 전문인력을 갖추게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험물시설 설계ㆍ감리ㆍ진단ㆍ안전관리ㆍ기술 검토는 소방기술사ㆍ소방기사가 참여하고 저장 취급ㆍ관리업무는 위험물기능장ㆍ기능사가 종사하도록 제도를 통합해야 한다”며 “이는 제도의 사각지대에서 소외됐던 기존 자격자의 참여를 보장해 업계 전문성을 강화하는 묘책”이라고 덧붙였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누군가의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구조사, 윤리의식ㆍ책임감 필요”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