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경주시, 어선(금광호) 침몰 사고 대처상황 ※ 어선사고 위기경보 단계 ‘경계’(’24.12.9.) - 사고개요: 12.9. 05:43경/경북 경주시 감포읍/감포항 남동방 약 3.5해리 해상에서 금광호(29톤, 어선, 승선 8명)와 태천2호(456톤, 모래운반선, 승선 10명)가 충돌하여 금광호 전복 - 피해현황: 사망 7명(한국인 3, 외국인 4) * 실종자(1명, 외국인) 수색 중 ※ 사고 선박(금광호)은 선박 하부 그물 제거 작업 후 예인 작업 진행 - 조치사항: (행안부) 국무총리·행안부장관 직무대행 지시사항* 전파, 상황판단회의 개최(사회재난실장), 현장상황관리관(농축산해양과장 등) 파견, 어선전복 발생 관련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등 * 행안부, 해경청은 가용 장비·인력을 총동원하여 최우선으로 인명을 구조하고, 실종자 파악에도 최선을 다할 것/ 모든 가용자원을 총동원하여 생존자 구조에 총력을 다하고 구조대원의 안전에도 각별히 유의할 것 (해수부) 어선사고 위기경보 ‘경계’ 단계 발령, 장관 지시사항 전파 등 (해경) 광역구조본부 운영, 수색 및 구조* 등 * 선내 고립자 7명 구조 (지자체) 경주시 지대본·통합지휘본부 가동, 승선원 가족 지원 등
▲ 제주시, 어선(135금성호) 침몰 사고(11.8.) 대처상황 ※ 어선사고 위기경보 단계 ‘심각’(’24.11.8.) - 피해현황: 사망 5+1명(한국인), 실종 9-1명(한국인 7-1, 인도네시아인 2), 경상 13명 ※ 12.9. 14:42경 민간 심해잠수사 수색 중 조타실 좌현측 통로에서 발견 수색·구조 등 조치 사항 ※ 실종자 1명 추가 발견(12.9.) (해경청) 해상(기본 임무 병행) 및 해안가 광범위 수색 지속, 민간심해잠수사 수중수색 작업 실시, 야간수색 지속 등 (지자체) 1:1 피해자 가족 지원 등
▲ 도로결빙·건조 등 대처상황 ※ 통제 없음 - 피해현황(12.8.): (한랭질환자) 2명 ※ 질병관리청(한랭질환응급실 감시체계) ※ 한랭질환 누계(‘24.12.1.~’24.12.8.): 24명(사망 없음)/(전년 동기) 26명(사망 없음) - 조치사항: (행안부) 기온하강·결빙 대비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도로결빙·건조 등에 따른 재난 예방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요청(NDMS) 등 * (도로결빙) 결빙 취약구간 제설제 사전 살포, 붕괴 취약시설 접근 통제, 도로결빙 대비 안전운전 안내 등(건조) 화재 및 산불상황 모니터링 강화, 입산통제구역, 임산물 채취 등 취약지역 감시인력 배치 등 - 11.26.~28. 대설로 인한 유형별 인명피해 예방대책* 적극 추진(NDMS), 화재·교통·선박·사업장등 최근 사고사례 전파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다중이용시설·아파트 화재 시 국민행동요령 및 산불 주의사항 안내(재난방송) * 대설로 인한 인명피해가 우려되는 유형(붕괴, 전도, 미끄러짐, 정체, 고립)을 중심으로 관계기관별(재난관리주관기관, 재난관리책임기관) 대책 마련 및 중점 관리사항을 적극 추진 (산림청) 산불재난 위기경보 ‘주의’단계 발령(12.9. 18:00) * 울산, 강원(강릉, 동해, 삼척, 속초, 고성, 양양), 경북(영덕, 포항, 울진)
▲ 가축전염병 대처상황 ※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없음 <럼피스킨(LSD)> ※ 위기경보 ‘주의’(전국, ’24. 8.12.~), ‘심각’(27개 시군, ’24.12.3.~) - 발생현황(12.9.): 1건(전남 여수*) ※ 확진(누계): 23+1건(강원 7, 경기 5, 경북 2, 충북 3, 충남 2, 전남 2+1, 대구 2) * 전남 여수 돌산읍 한우농장(45두)에서 한우 1두 피부 결절·발열 발생 신고(12.8.)→7두 양성 판정(12.9. 21:00)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등) 초동방역팀 투입, 출입통제 등 조치(12.8.~), 양성 확진 농장 5㎞ 이내 소 농장 이동 제한 * 발생농장 양성축(7두)은 살처분 유예, 강화된 방역조치하에 양성축 농장 내 격리, 임상관찰(28일간) 후 항원 미검출 시 이동제한 해제 검토 (행안부) 매개곤충 방제 철저 권고 * 모기 15℃, 침파리 11.5℃까지 활동성 유지 <조류인플루엔자(AI)> ※ 위기경보 ‘심각’(’24.10.9.~) - 발생현황(12.9.): (가금) 없음 (야생조류) 1건(충북 충주) ※ 확진(누계): 가금 8건(강원 1, 충남 1, 충북 1, 인천 1, 전북 1, 전남 2, 세종 1), 야생조류 13+1건(경기 5, 전북 2, 제주 1, 울산 1, 강원 1, 경남 1, 충북 2+1)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등) 고병원성 AI 항원 검출지역 가금농장 점검 등
▲ 주요 사고 - (화재) 12.9. 10:25경/광주 북구 동림동/요양병원(5/1층, 4,729㎡) 2층에서 전선 누전으로 발화(완진 10:35)/전선 및 천장 일부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 자력 대피 65명(2층 33, 3층 32) - (승강기사고) 12.9. 08:11경/부산 북구 화명동/아파트 1층에서 엘리베이터 탑승 중 출입문이 열린 상태로 상승해 이용자가 승강기에 끼임 발생/사망 1명(80대) - (상수도사고) 12.9. 20:18경/경북 영천시/완산동·금노동 일원에서 오염된 수돗물 공급으로 약 5,000세대 식수 사용 중단 - 영천댐 원수에서 망간 기준 초과 확인*, 망간 제거를 위한 염소 처리강화, 취수공 위치조정, 주민 안내문자 발송(4회, 12.9 20:16~12.10. 00:14) 등 ※ 기온 저하로 표층의 물이 심수층까지 내려가면서 물이 혼합되어 망간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 * (망간 기준치 0.05㎎/ℓ) 12.7. 원수에서 최대 0.227㎎, 정수에서 최대 0.048㎎→ 취수공 위치조정 후 원수에서 0.177㎎, 정수에서 0.016㎎ 확인 - (산불) 전남 구례군마산면(12:30~13:30/피해 면적 및 원인 조사 중)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11월 대설피해지역 현장점검 및 관계기관 복구대책 점검(12.9.) 재난안전관리본부장, 경기도 화성지역 피해 현장을 방문해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농민들의 애로사항 청취 - 이후 복구대책 관계기관 영상 점검 회의를 통해 기관별 복구대책 및 지원방안 등 논의 * 행안·농식품·환경·중기부, 농진청, 경기·충남·충북 참석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5회(응급환자2, 수색구조1, 훈련비행12) / 2명(구급) ❖구급상황관리: 3,224회(의료지도 317, 대국민상담.지도 2,820, 이송병원선정 80, 헬기 3, 재외국민 4) ❖생활안전조치: 513회(동물처리 136, 비화재보확인 240, 잠금장치개방 41, 안전조치 30, 기타 66)
◇ 화재진압 ▲ (복합건축물) 경기 남양주시『○○센터』 - 06:11~06:39, 주차장 천장에서 원인 미상 화재, 경상 1명, 천장 75㎡ 및 배관 등 소실
▲ (공사장) 서울 광진구『○○문화관』 - 08:24~09:36, 내부 공사 중 부주의 추정 화재, 천장 350㎡ 소실 및 천장 200㎡ 그을음 등
▲ (노유자시설) 광주 북구『○○요양병원』 - 10:25~10:35, 요양병원 천장 내 전선 설치 부주의로 전선 발화, 전선 및 천장 일부 소실
▲ (공동주택) 전남 영암군『○○주택』 - 10:52~11:17, 거주자 부주의(흡연) 화재, 사망 1명, 실내 59㎡ 전소 및 냉장고 등 소실
▲ (주 택) 충북 제천시『○○연립』 - 12:27~12:49, 천장 조명기구 부근에서 원인 미상 화재, 경상 2명, 내부 전소 및 가재도구 등 소실
◇ 구조/구급 ▲ (전 복) 경북 경주시『○○해상』 - 06:09~18:00, 모래운반선과 어선이 충돌 후 어선 전복사고, 실종 1명, 사망 7명, 구조 후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다음날 2일차 수색 진행 예정
▲ (구 조) 충남 아산시『○○천변』 - 15:58~16:17, 구조대상자 2명 사후강직 상태로 차량에서 발견, 사망 2명, 경찰 인계
▲ (구 급) 강원 인제시『○○교각 아래』 - 17:41~18:44, 어업종사자로 부표 구조물에서 작업 중 쓰러짐, 사망 1명,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12월 10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