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강풍‧안개 등 대처상황 ※ 피해 없음(잠정) - 통제상황(05시):(국립공원) 7개공원82개구간(팔공38,태백12등) ※ 산불예방 - 조치사항:(행안부) 강풍‧안개‧해무 등에따른상황관리철저(NDMS),화재·선박·교통·사업장등 최근 사고사례 전파 및 상황관리 철저(NDMS),산불및다중이용시설‧아파트등화재예방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
▲ 가축전염병(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 아프리카돼지열병, 럼피스킨) 발생 없음(5.14.)
▲ 주요 사고 - (화재) ① 5.14. 12:24경/충남천안시 성환읍/폐합성수지재활용공장(2동, 1/0층, 565㎡) 건물 외부 파쇄 더미에서 발화(완진 13:45)/건물 2동 전소 등 ※ 인명피해 없음, 관계자가 진화‧신고 / 연기 다량 발생주의등 안전안내 문자 발송(2회) ② 5.14. 22:34경/경기 평택시 팽성읍/폐목재 재생연료를 이용하는 발전 시설(2/0층, 1,464㎡)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5.15. 00:54)/재산 피해 조사 중 ※ 인명피해 없음, 자력 대피 6명(작업자 등), 관계자가 진화‧신고 / 소방 대응 1단계(22:44~5.15. 00:25)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등 교통안전 현장 점검(5.14.) -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충북 청주시(충북대 주변)를 방문해 중문 보행자 우선도로를 점검하고, 봉덕초등학교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 시설물 등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보행환경을집중점검 - 안전예방정책실장, 서울강남구도곡초등학교를 방문해 어린이보호구역 내 안전시설 설치‧관리 실태 등 점검
▲ (행정안전부) 일본 난카이 트러프 지진 시 국내 영향관련 대책 등 논의(5.14.) - 자연재난실장,일본난카이트러프*지진발생 시에 장주기파**에 따른 우리나라 영향 및 관련대책 등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 일본 열도 남쪽 활발한 해양 섭입대***로 일본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진과 쓰나미의 진원지 ** 일본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지진파의 한 종류로서 지진이 발생한 후 긴 주기로 흔들리는 지진파 *** 판구조론에서 판과 판이 만나 경계에서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판이 밀도가 낮은 판 아래로 밀려 들어가는 곳
▲ (행정안전부) 인파사고 대비 안전관리 대책 등 현장 점검(5.14.) - 사회재난실장, 5월 대학 축제 인파 사고 예방을 위해 인천 인하대학교 축제 현장을 방문해 안전대책 및 상황관리 준비 실태 등 점검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11회(응급환자2, 수색구조1, 장기이송1, 훈련비행7) / 2명(구급2) ❖구급상황관리: 3161회(의료지도 246, 대국민상담.지도 2820, 이송병원선정 79, 헬기 3, 재외국민 13) ❖생활안전조치: 756회(동물처리 206, 비화재보확인 145, 잠금장치개방 50, 안전조치 45, 기타 310)
◇ 화재진압 ▲ (공동주택) 부산 북구『○○○○아파트』 - 08:05~08:17, 주방 후드 전선에서 전기적 요인 추정 화재, 주방 20㎡ 등 소실
▲ (자원순환) 충남 천안시『○○수지』 - 12:24~13:15, 담배꽁초 처리 부주의 추정 화재, 기계동 및 창고동 전소 등
▲ (근린생활) 부산 북구『○○○○○○치킨』 - 14:58~15:18, 가게 분전반 차단기 단락 화재, 경상 1명, 분전함 등 소실
▲ (차 량) 창원 마산회원구『○○도로』 - 16:05~16:17, 포터 차량 화물칸 폐지에서 담뱃불 취급 부주의 추정 화재, 경상 1명, 폐지 소실
▲ (차 량) 부산 해운대구『○○○○○○ 지하 2층』 - 16:20~16:57, 승용차에서 자살 방화 추정 화재, 경상 1명, 조수석 시트 등 일부소실
▲ (공 장) 부산 강서구『○○산업』 - 17:33~17:44, 밸브 제품 찌꺼기 제거를 위해 등유를 분사하는 과정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부상 2명
▲ (공 장) 경기 평택시『○○에너지』 - 22:34~00:54, 고형폐기물연료 운반 컨베이어 기계적 요인 추정 화재, 공장 벽면 30㎡, 등 소실
5월 15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