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9월 3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5/09/03 [09:16]

9월 3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5/09/03 [09:16]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          ※ 폭염 위기경보 ‘심각’ 발령 및 중대본 1단계 가동(7.25.14:00~)

- 인명피해(9.1.):온열질환 6명(사망없음)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9.1.): (’25년) 온열질환 4,273명(사망 27)/ (전년 동기) 3,338명(사망 32) / 조기감시기간(‘25.5.15.~5.19.)15명

- 재산피해(9.1.):(가축) 6,977마리(돼지 2,013, 가금 4,964) (양식) 115,134마리※ 누계(5.20~9.1): 가축피해 1,826,736마리(돼지130,970, 가금1,695,766) / 양식피해 842,630마리*신고접수기준으로조사후변동가능(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양식 해수부신고) / 전년동기:가축1,229,915마리, 양식30,146,969마리

- 조치사항:(중대본‧행안부)폭염재난 대처상황 점검중대본 회의(중대본차장, 8.26.),폭염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및재난예방활동철저지시(NDMS)  

    (복지부)독거노인등취약계층안전확인(196,988건), 노숙인종합지원센터 순찰(고용부)고위험 사업장 대상 폭염 안전수칙 준수여부 등지도‧감독(해수부)양식어업인대상수온및양식장관리요령등정보제공 (지자체)비상근무,취약계층 보호활동, 피해저감시설운영(살수차등)및홍보 등

 

▲ 9.3.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6~17시)에 최대 86.7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102.1GW → 공급예비력15.4GW(17.8%), 운영예비력*10.3GW(11.9%)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강원 강릉지역 가뭄 대처상황

- 현황(9.2.18시기준): 오봉저수지 저수율14.1(전일0.3%p↓)%(202만톤) ※ (위기경보9.2.10시) 저수지11개소(심각 5, 경계5, 주의 1) 경보발령중

- 조치사항: (행안부) 강릉 가뭄 일일 점검회의(자연재난실장), 강릉 가뭄대책 관계기관 회의(재난안전관리본부장, 9.1.), 가뭄대책점검 회의 및 오봉저수지현장점검(대통령, 8.30.*/장관, 8.27.)

      * 강릉지역 주요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가뭄 상황 현장점검, 가뭄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가용한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주민 불편 최소화, 즉각적인 재난 사태 선포 및 국가소방동원령 발령 등 지시 

     - 범정부 가뭄 대처 현장지원반 운영(9.1.~), 가뭄재난 사태 선포(8.30.), 재난관리 자원신속지원‧응원요청(공문, 8.30.), 가뭄재난특교세(5억)교부(8.25.)

     (국방부) 물탱크 차량 70대 동원 급수 지원(9.3. 140여대 투입 예정)(소방청) 국가소방동원령 발령(8.30.), 물탱크차 및 급배수지원차 동원(71대, 8.31.~)(산림청) 고지대, 읍‧면‧동 운반 급수용 대형 이동식 저수조(40톤) 지원(7개, 9.2.)(지자체)강릉시재대본운영(2단계,8.29.~),제한급수(8.20~),농업용수공급중단(8.31.~), 생활용수 확보(7천톤/일, 8.28.가동), 유관기관협력생수및운반급수지원 등

- 운반급수 현황(9.2.)

 6,582톤 급수 ⇒ (원수) 오봉저수지 3,194톤, (정수) 홍제정수장 3,388톤

   ※ (동원 현황) 185대(소방차 71대, 군 물탱크 70대, 산림청 1대, 지자체 14대 등) 및 461명 

 

▲ 강수‧안개‧풍랑 등 대처상황      

- 조치사항:(행안부) 8.31.~9.2일 호우대비 안전관리 철저(공문, 8.30.), 호우특보지자체에 위험지역 예찰활동 강화 등 안전관리 철저 요청(유선), 강수‧안개‧풍랑 등에 따른 재난 예방활동 및상황관리 철저(NDMS)

    -  수난사고 예방 안전수칙 안내(재난방송)및상황관리 철저(NDMS),아파트‧에어컨 등 화재예방 수칙‧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및상황관리철저(NDMS)

 

▲ 주요 사고 

- (화재) ① 9.2. 10:08경/경기 광주시 곤지암읍/광주원주고속도로 곤지암 2터널(1.6㎞) 입구(성남방향)에서 트럭(1톤) 엔진과열(추정)로 화재(완진 10:27)/트럭 전소

    ※ 인명피해 없음 / 소방 대응1단계(10:18∼10:26) / 터널내 소화전으로 진화 및 제트팬 가동 배연 완료

    ② 9.2. 15:30경/서울 강남구 개포동/구룡마을(5지구)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7:43)/가건물 3가구 전소, 3가구 반소(3가구 4명 거주)

    ※ 인명피해 없음(전원 대피 완료) / 소방 대응1단계(15:54∼17:43) / 재난문자 송출(16:20) / 행인 신고 / 이재민 3가구 4명 임시주거시설(숙박시설) 지원(강남구)

- (사업장사고) 3건*(서울1, 경기1, 전남1) 발생 / 사망 3명

   * ① 9.2. 09:20경/서울 서초구 방배동/근린생활시설(4/1층, 497㎡) 신축 공사장 5층에서 거푸집 작업발판 설치 중 추락(약 18m)/사망 1명(남, 68세)

       ② 9.2. 15:00경/경기 부천시 소사동/소사1배수지 밸브 교체공사장에서 흙막이 가시설 설치 작업 중 절취 사면 붕괴로 작업자가 매몰/사망 1명(남, 56세)

       ③ 9.2. 17:00경/전남 여수시 율촌면/콘크리트제조공장 콘크리트 믹서기 내부에서 시멘트 덩어리 제거 작업 중 감전(추정)/사망 1명(남, 25세)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73

0

4

764

742

225

5,465

5,509

2,450

26

 

❖헬기출동: 21회(응급환자4, 화재진화1, 훈련비행16) / 4명(구급)

❖구급상황관리: 3,327회(의료지도 490, 대국민상담.지도 2,752, 이송병원선정 60, 헬기 5, 재외국민 20) 

❖생활안전조치: 2,450회(동물처리 213, 비화재보확인 242, 잠금장치개방 33, 안전조치 53, 기타 1,909) 

 

◇ 화재진압

▲ (터널 내 차량) 경기 광주시『광주원주고속도로 곤지암 2터널』 

- 10:08~10:27, 운행 중이던 화물차 엔진부에서 발화 추정 화재, 차량 1대 전소

 

▲ (주    택) 서울 강남구 개포동『○○마을 주택』 

- 15:30~17:43, ○○마을 내 주택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3세대 전소 및 3세대 반소

 

▲ (비닐하우스) 경기 남양주시 와부읍『○○과수원 비닐하우스』 

- 16:29~17:11, 농기계 보관 비닐하우스에서 전기적 요인 발화, 비닐하우스 1개동 전소

 

▲ (공동주택) 울산 동구 방어동『○○아파트』 

- 20:49~21:18, 1층 아파트 세대 내 원인 미상의 화재, 조사 중

 

◇ 구조/구급

▲ (추락사고) 서울 서초구 방배동『신축 빌라 공사현장』 

- 09:30~09:56, 5층에서 목공 작업 중 근로자가 지하 1층으로 추락, 사망 1명(남/69세)

 

▲ (안전사고) 대전 동구 천동『○○교회 공사현장』 

- 09:47~10:17, 크레인이 뒤로 밀리면서 작업자 깔림 사고 추정, 사망 1명(남/70세)

 

▲ (안전사고) 강원 철원군 원남면『○○부대 신축 공사현장』 

- 14:46~15:51, 군부대 생활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 쓰러짐 사고, 사망 1명(남/64세)

 

9월 3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