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 ※ 폭염위기경보 ‘경계’(9.8. 21시~) - 인명피해(9.8.):온열질환 2명(사망없음)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9.8.): (’25년) 온열질환 4,379명(사망 29)/ (전년 동기) 3,424명(사망 32) / 조기감시기간(‘25.5.15.~5.19.)15명 - 재산피해(9.8.):(가축) 365마리(돼지) (양식) 116,847마리※ 누계(5.20~9.8): 가축피해 1,890,843마리(돼지142,228, 가금1,748,615) / 양식피해 2,000,127마리*신고접수기준으로조사후변동가능(가축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양식 해수부신고) / 전년동기:가축1,328,863마리, 양식43,078,031마리 - 조치사항:(행안부) 지역별 폭염으로 인한 상황관리 철저(9.8.,공문), 폭염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및재난예방활동철저지시(NDMS) (복지부)독거노인등취약계층안전확인(6,569건), 노숙인종합지원센터 순찰(고용부)고위험사업장 대상 폭염 안전수칙 준수여부 등지도‧감독(지자체)비상근무,취약계층 보호활동, 피해저감시설운영(그늘막등)및홍보등
▲ 9.10.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8~19시)에 최대 79.5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100.8GW → 공급예비력21.3GW(26.8%), 운영예비력*10.1GW(12.7%)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 강원 강릉지역 가뭄 대처상황 - 현황(9.9.18시기준): 오봉저수지 저수율12.2(전일0.2%p↓)%(175만톤) ※ (위기경보9.9.10시) 저수지11개소(심각 7, 경계4) 경보발령중 - 조치사항:(행안부)강릉가뭄대응관계기관대책회의(재난안전관리본부장,9.8.), 강릉가뭄현장점검및대책회의(국무총리,9.5.),가뭄대책회의및오봉저수지현장점검(대통령, 8.30./장관, 8.27.), 일일점검회의(자연재난실장, 9.2~) - 범정부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 운영(9.1.~), 가뭄 재난 사태 선포(8.30.), 재난관리 자원신속지원‧응원요청(공문, 8.30.), 가뭄재난특교세(5억)교부(8.25.) (국방부) 급수차량(400대) 및 군 헬기(5대) 이용 급수 지원(소방청) 국가소방동원령발령(1차8.30.,2차9.7.*),물탱크차량동원급수지원(101대9.9.)(해경청)경비함정이용(함정→소방차→정수장) 급수 지원(9.3.∼9.9.)(지자체)강릉시재대본운영(2단계,8.29.~),제한급수(대수용가123개소,9.6.~),공공체육시설폐쇄(9.4.~),병물배부(일반시민대상,9.4.~), 절수조치(수도계량기75%잠금,9.1.~)등
▲ 운반급수 현황(9.9.) - 15,219톤 급수 ⇒ (원수) 오봉저수지 11,203톤, (정수) 홍제정수장 4,016톤 ※(동원현황)차량573대(소방101대,군400대등),함정 3척(해수부‧해경‧해양대),군헬기5대및1,196명
▲ 호우‧대조기 등 대처상황 - 조치사항: (행안부) 9.8~9일호우대비안전관리철저(공문, 9.8.),호우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강수‧대조기*등예방활동및상황관리철저(NDMS)* 최대 해수위 ’주의‘ 단계 예측(9.8.~11.): 서해안(인천, 평택, 군산), 남해안(마산, 성산포) - 수난사고 예방 안전수칙 안내(재난방송)및상황관리 철저(NDMS),아파트‧에어컨 등 화재예방 수칙‧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및상황관리철저(NDMS)
▲ 주요 사고 - (화재)9.9.16:26경/전북 군산시 소룡동/공장(3/1층, 78,887㎡) 철거 작업 중에 원인미상의화재(완진 17:42)/공장 외벽 및 지붕 일부 소실 ※ 인명피해 없음 / 소방 대응1단계(16:47~17:06)/관계자 신고 - (가스누출)9.9.14:35경/인천미추홀구도화동/반도체 부품 제조공장에서 염산 저장탱크(약4톤)에 염소산나트륨(수용액 100∼150ℓ) 오주입으로 염소가스 누출/병원진료 22명(어지럼증, 인후통 등) ※ 자력대피 120명 / 재난문자 송출(1회) / 화학물질안전원, 염산탱크 내 잔류염산 수거 완료 - (사업장사고) 9.9. 15:33경 / 경기 시흥시 정왕동 / 아파트 신축 공사 현장에서 대형 크레인으로 철제계단을 옮기던 중 작업자를 충격 / 사망 1명(남, 52세) - (지진) 9.9. 20:04경/제주 제주시 동북동쪽 44㎞ 해역(발생 깊이 17㎞)에서 규모 2.1 지진 발생, 최대진도Ⅰ ※ 피해 및 유감신고 없음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훈련비행 11회(중앙4, 경기2, 강원3, 충북1, 충남1) ❖구급상황관리: 2990회(의료지도 286, 대국민상담.지도 2636, 이송병원선정 59, 헬기 0, 재외국민 9) ❖생활안전조치: 1866회(동물처리 204, 비화재보확인 195, 잠금장치개방 44, 안전조치 49, 기타 1374)
◇ 화재진압 ▲ (교육연구시설) 대구 동구『○○○○○수련원 체육체험학습장』 - 06:49~07:00, 숙직실 선풍기 전원선에서 전기적 요인 발화 추정, 숙직실 18㎡ 및 집기류 소손(1백만원)
▲ (공동주택) 경북 포항시『○○○○○아파트 지하 1층』 - 08:03~08:51, 수변전실 내 전기실 기중차단기 배선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발화 추정, 벽체 66㎡ 그을임 및 전기실 설비 일부 소실(11백만원)
▲ (주 택) 경남 양산시『다가구주택 4층』 - 11:38~11:49, 세대 내 거실에서 인적 부주의(담배꽁초)에 의한 발화 추정, 중상 1명, 거실 16㎡ 그을음 및 가전제품 일부 소훼(5백만원)
▲ (공 장) 전북 군산시『○○공장』 - 16:26~17:42, 철거 중인 작업 중인 공장내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외벽 및 지붕 2,000㎡ 소실 및 그을음(49백만원)
◇ 구조/구급 ▲ (화학물질누출) 인천 미추홀구『○○○○○공장』 - 14:35~20:04, 염산 탱크에 염소산나트륨을 잘못 주입하며 가스 누출 추정, 부상 22명(병원이송 6명, 자력내원 16명)
9월 10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