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전기화재 10건 중 3건 ‘원인 불명’… 피해액 2.5배 급증

김원이 의원 “AI 분석체계로 전기화재 원인 사전 차단해야”

광고
최누리 기자 | 기사입력 2025/09/25 [17:10]

전기화재 10건 중 3건 ‘원인 불명’… 피해액 2.5배 급증

김원이 의원 “AI 분석체계로 전기화재 원인 사전 차단해야”

최누리 기자 | 입력 : 2025/09/25 [17:10]

▲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  © 김원이 의원실 제공

 

[FPN 최누리 기자] = 최근 5년간 원인 규명이 어려운 미확인 단락으로 인한 전기화재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목포시)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미확인 단락으로 발생한 전기화재는 총 1만5297건이다. 이 사고로 179명이 숨지고 1185명이 다쳤다. 재산피해는 4740억 원에 달한다. 

 

미확인 단락은 접촉 불량이나 절연열화, 압착ㆍ손상 등 명확한 원인 규명이 어려운 전기화재를 의미한다. 

 

문제는 원인 미상의 화재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연도별로는 2020년 2294, 2021년 2415, 2022년 2919, 2023년 3020, 2024년 3034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6월까지는 1615건을 기록했다. 전체 전기화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28.1%에서 지난해 35.1%로 증가했다. 올해는 6월까지 38.4%에 육박했다. 

 

피해 규모 역시 늘고 있다. 재산피해액은 2020년 470억 원에서 지난해 1154억 원으로 2.4배 증가했으며 올해 6월 말까지는 517억 원을 기록했다. 

 

인명피해의 경우 전체 전기화재 중 미확인 단락으로 인한 화재 피해자는 2020년 57.5%(218명)에서 지난해 74.7%(278명)로 치솟았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산업고도화와 주거환경 변화로 건축물이 대형ㆍ고층화되면서 화재 진압이 어려워지고 그 과정에서 현장이 완전히 소실돼 단락 원인을 규명하는 데 한계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원이 의원은 “전기화재 10건 중 3건 이상이 원인 미상 단락으로 피해 규모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며 “AI 분석 기술과 사고조사 체계를 정비해 불이 난 뒤 수습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리 찾아 막는 사전예방형 전기안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누리 기자 nuri@fpn119.co.kr 

광고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기획-러닝메이트/한국소방안전원] 안전을 넘어 정책의 기준 제시 ‘정책연구과’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