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제9호 태풍 ‘찬홈’ 대처상황 * 피해상황(잠정) 없음
- 제9호 태풍 ‘찬홈’ 대처상황 * 13일 06시 열대저압부로 약화
피해상황(16시 현재, 잠정) : 인명피해 3명(사망2, 실종1) * 사고원인 조사중
- (사유시설) 선박 7, 농경지 침수 400ha, 낙과 110ha, 밭작물 도복 22.9ha, 수산 양식시설 1
- (공공시설) 도로 3, 석축 1, 가로․신호등 4, 가로수 전도 61주 등
조치계획
- (사유시설) 신고접수 및 자치단체에서 피해조사(7.22까지 NDMS 입력)
※ 전라‧충남지역 해양시설(수산 증·양식) 1차 피해조사(7.15, 파고 등에 따라 유동적)
- (공공시설) 피해조사 결과에 따라 국고지원여부 검토(7.19까지)
▲ (감염병) 메르스 대처상황 * 최초 발생 ’15.5.20(‘주의’단계 발령)
- 확진환자 : 총 186명(사망 36명, 퇴원 131명 포함) * 전일 대비 변동없음
※ 치료 중인 환자 : 19명(안정적 15, 불안정 4)
- 격리자 : 394명(자택 371, 기관 23) * 전일 대비 격리자 41명 감소 / 해제자 16,278명
- 주요 조치사항(7.13)
- (대책지원본부) 지자체별 1:1 전담 관리제 운영(413명), 자원봉사활동10명(누계 42,605명),119구급대고열환자이송 116명(누계 8,906명),해상검역(해경) 34회(누계 1,898회)
- (복지부) 장관 주재,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 개최
- (국토부) 항공사별 항공기내 2~6차 소독 실시(총13일, 263대 중 152대 실시)
- (지자체)공공의료 혁신 토론회(서울시), 메르스 대응 온라인 수출 상담회(충남)
향후계획 : 메르스 범정부 대책회의, 시‧도 담당과장 일일영상회의 개최(계속)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U)대회 안전관리 상황(7.13)
-소방력 동원 : 장비 55대, 인원 261명 /구조구급활동 : 8건 8명(누계 295건 284명)
※ (구급)선수(태국․태권도, 남․20세) 경기 후 오른 발등 통증 → 조선대병원 이송
※ (구급)자원봉사자(여․22세) 난간에 부딪혀 오른 팔목 타박상 → 응급처치
- 메르스 감염대비 ‘현장대응 지원단’ 운영(6.29~, 보건복지부), U-대회 소방안전상황실운영(7.2~14, 국민안전처), 경기장 내 메르스 임시격리소 45개소 운영(6.28~, 광주)
▲ 녹조 대처상황(7.13) * 범부처 녹조대응 TF운영(7.1∼)
- 전망 : (한강) 강우로 일부 완화 예상되나, 고온으로 다소 악화 가능성도 있음
(낙동강) 태풍(9호, 11호)의 영향으로 하류구간 녹조는 다소 완화 예상
- 조치 : 응집제‧약품 증량 투입 등 하수처리강화 조치(7.10~, 환경부‧서울시), 낙동강 보방류(낙동강홍수통제소), 고도정수처리 강화․물순환장치 가동 등
▲ (선박화재) 라이베리아 국적 컨테이너선 화재(7.10) 대처 상황(4일차)
- 선박상태 : 오륙도 북동방 46해리 표류중, 갑판상 옅은 연기 발생
- 조치사항(4.13) : 선박화재전문가(싱가폴 5명) 카마라호 선교 하부 적재물 진화 완료(13.11:00~18:00), 선체 중앙부위 적재물 진화 중(13. 18:00~)
※ 7.14. 04:55 선박화재전문가 8명(영국1, 네덜란드7) 현장 도착 진화작업 추가 투입
향후계획 : 3001함 화재 완전 진압시까지 카라마호 근접 안전관리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백만원)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일 계
|
68
|
1
|
0
|
176
|
1,264
|
275
|
4,336
|
4,388
|
누 계
|
24,980
|
155
|
1,047
|
168,937
|
166,169
|
47,087
|
855,797
|
877,314
|
❖ 가뭄지원 2개시‧도 3시‧군 4회 15톤, 소방력 8명 4대 ➡ 가축음용수(15톤)
❖ 생활안전 1,129건 / 벌집제거 285, 위해동물포획 251, 갇힘사고 126, 전기‧가스안전 11, 기타 456
◇ 화재진압 활동
▲ (주택) 경남 하동군 적량면 동산리『단독주택(1/0)』
- 08:47~08:51, 원인조사중, 사망 1명(여/70세), 30㎡ 및 집기류 소실(360만원)
* 시건개방 확인한바 현관문 입구에 1명이 쓰러져 있었고, 내부는 자연소진 상태
▲ (아파트) 서울 서초구 서초동『빌라트(10/1) 7층』
- 11:19~11:37, 작은방(향초)에서 발화 추정, 50㎡ 및 가재도구 소실(50백만원)
* 자력대피 15명(주민)
▲ (학교) 경기 분당구 서현동『고등학교(4/1) 1층』
- 12:54~13:15, 취업준비실에서 발화, 66㎡ 및 집기류 소실(13백만원)
* 자력대피 767명(학생676, 교직원91),
▲ (아파트) 경기 군포시 금정동『주공아파트(5/1) 4층』
- 21:22:~21:39, 거실 유리탁자 부근에서 발화, 93㎡ 및 가재도구류 소실(29백만원)
◇ 구조・구급 활동
▲ (교통사고) 전남 담양군 대덕면 갈전리『갈전교』
- 10:24, 셔틀버스(45인승)가 다리 난간을 충돌, 탑승객 34명 중 30명 부상
경상 30명(관광객24, 리조트 관계자5, 운전자1) 병원이송 진료(귀가24, 입원6)
▲ (추락사고) 창원 마산회원구 석전동『신축 공사장』
- 12:08, 작업중 높이 15m 지하 공사장 바닥으로 추락, 중상 1명(남/50세, 다리골절 등)
* 공사현장 크레인 이용 구조 후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
|
주요 해양사고
(척/명)
|
오염방제
(건/유출량㎘)
|
나포
|
검문
|
차단․퇴거
|
일 계
|
0
|
0
|
0
|
1 / 11
|
0 / 0
|
누 계
|
208
(지도선 포함)
|
535척
|
3,630척
|
898 / 8,253
|
133 / 248㎘
|
◇ 해양사고
▲ (응급환자) 완도․군산․통영․인천․제주․목포․여수, 응급환자(8명) 이송
- 06:30, 노화읍 넙도 주민(남,74세), 팔․다리 마비, P56정 땅끝항 이송
- 07:23, 어청도 작업인부(남,63세), 뇌졸중, 3010함 군산항 이송
- 08:20, 사량도 주민(여,63세), 암투병 환자 의식저하, P29정 통영전용부두 이송
- 10:17, 연평도 주민(여,85세), 급성신부전증, 502함․121정 인천전용부두 이송
- 10:45, 추자도 작업인부(남,52세), 발목골절, 1505함 제주항 이송
- 12:33, 진도군 조도면 눌옥도 주민(여,81세), 식중독, 1006함 서망항 이송
- 15:36, 광양 태인도 해상, 위험물운반선 선장(남,52세), 발작증세, P62정 광양항 이송
- 7.14.02:43, 욕지도 양식장 작업인부(여,39세), 손가락 절단, 512함․P81정 통영 달아항 이송
▲ (익수자) 서귀포, 하예동 앞 해상, 익수자(1명) 구조
- 17:55, 파도에 휩쓸려 낚시객(남,42세) 추락, 상황센터 인근 어선에 구조 요청․구조
▲ (변사자) 부산․완도, 변사자(2구) 인양
- 16:11, 감천항 해상 시민 변사자(남,40대,러시아추정) 신고, 수사과 수사중
- 11:14, 강독마을 주민 선착장 어선침수 신고, 122구조대 변사자(남,46세) 발견, 수사과 수사중
7월 14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