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119기고]일사병ㆍ열사병, 증상과 대처법

광고
여수소방서 소라119안전센터 소방사 임후성 | 기사입력 2018/06/07 [13:30]

[119기고]일사병ㆍ열사병, 증상과 대처법

여수소방서 소라119안전센터 소방사 임후성 | 입력 : 2018/06/07 [13:30]

▲여수소방서 소라119안전센터 소방사 임후성

6월 첫 주말 대구, 광주를 비롯해 전남 일부 지역에도 폭염주의보가 내려졌다. 지난해 대비 3~4℃가 높은 30℃로 매년 갈수록 여름이 빨리 다가오는 것 같다.

 

이런 날씨 속에서 무리하게 땀을 흘리거나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몸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바로 일사병과 열사병이다. 이 둘을 알아보도록 하자.

 

흔히들 ‘더위 먹었다’는 표현은 일사병을 뜻한다. 일사병은 뜨거운 공기와 강한 햇볕으로 인해 우리 몸이 정상적으로 체온조절을 하지 못하고 체내 온도가 37도에서 40도로 상승할 경우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때 체내 수분이 부족해지면서 두통, 현기증 등을 느낄 수 있고 심하면 구토, 실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만약 주위에 쓰러진 사람이 일사병의 증상을 보인다면 먼저 서늘한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게 해주면서 충분한 수분섭취를 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열사병은 일사병보다 더 상태가 심하다고 보면 쉽다. 보통은 의식의 유무로 구분할 수 있다. 열사병은 체내 온도가 40℃를 넘고 고온 다습한 환경과 덥고 밀폐된 공간에서 자주 발생한다. 일사병과는 달리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발생한다. 40℃ 이상의 고열로 인해 의식장애와 탈진,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열사병 증상을 보이는 사람을 발견하게 된다면 첫째, 환자의 체온을 낮추도록 하자. 119에 신고 후 그 자리에 방치하거나 기다리는 것이 아닌 그늘로 환자를 이동시켜 옷을 벗기고 찬물로 몸을 적신 상태에서 119를 기다리거나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이때 환자의 의식이 없다면 무리하게 수분섭취를 시켜서는 안 된다. 또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는 도중 의식이 돌아왔다고 해도 병원에서 진료를 받게 하는 것이 좋다.

 

날씨가 더운 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좋지만 야외에서 활동해야 한다면 얇은 소재로 만든 옷을 착용토록 하고 주기적으로 휴식시간을 가져야 한다. 

 

하루에 2ℓ 이상 물을 마셔주는 것만으로도 일사병과 열사병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여수소방서 소라119안전센터 소방사 임후성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