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PN 배석원 기자] = KT(회장 황창규)와 한국재난정보학회(회장 이래철)가 28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WEST)홀에서 정보 공유와 재난안전 솔루션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재난정보학회는 지난 2005년 행정안전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전국 주요 대학의 재난안전 분야 전문 교수진과 연구원 등 14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학술 단체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지진, 화재, 보행자 교통사고 재난 등 각종 사고 발생 시 LTE, 5G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재난안전 관리 표준 대응 절차를 공동 수립한다.
양 기관은 케이블, 통신구, 통신주와 같은 KT 통신 인프라에 사물인터넷 지진 감지 센서를 설치해 지진 패턴을 수집하고 진동 알고리즘을 분석해 지진을 조기 감지해 대응할 수 있는 전문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다.
또 KT는 한국재난정보학회가 추진하고 있는 원전 구조물 안전 진단 과제에도 힘을 보탠다. 원전 구조물 안전 진단 과제는 LTE와 5G 네트워크에 연결된 드론으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이 접근이 어려운 외부 구조물을 실시간 영상으로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이외에도 두 기관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쌓은 각종 재난안전 관련 데이터를 ‘공공 재난용 데이터베이스(Data Base)’로 축적해 향후 재난안전 통신망, 철도 무선 통신망, 해상 무선 통신망 구축 작업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이래철 회장은 “국가재난안전 통신망과 5G 인프라를 활용한 재난 대응 서비스에 대한 산ㆍ학계 관심이 매우 높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한 단계 발전된 재난 대응 서비스를 연구해 국민 생활 안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KT 김준근 IoT사업단장은 “KT의 ICT 역량과 한국재난정보학회의 뛰어난 연구역량을 접목해 재난대비를 첨단화하고 4차 산업혁명과 5G 시대에 맞춰 재난으로부터 안전한 스마트도시 건설에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배석원 기자 sw.no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