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이 대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최근 해외진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실태와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의 절반이상인 51.2%가 수출경쟁력이 중위권이라고 응답했으며 상위권이라고 응답한 41.1% 보다 많게 나타났다. 현지시장에서 자사 제품의 점유율이 ‘3위권밖’이라는 응답업체는 79.6%였으며, ‘3위권내’라는 응답은 20.4%였다. 이와 관련해 대한상의 관계자는 “중소기업은 전체 고용의 88%, 전체 gdp의 54%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3%에 그치고 있다”고 전하면서 “중소기업의 수출 확대를 위해 중위권 수준인 수출경쟁력을 상위권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응답업체의 62.3%가 품질을 손꼽아 기술이나 디자인 등의 비가격 경쟁력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나타났다. 가격이라는 응답은 32.7%, 현지화전략은 5.0%수준이었다. 수출시장에서 우리 중소기업의 가장 위협적인 경쟁상대로는 중국기업이라는 응답은 32.7%로 가장 높았고 19.2%가 국내 기업이라고 응답해 해외시장에서 우리 기업간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미국기업 15.4%, 일본기업 12.7% 순으로 조사됐다. 우리 중소기업들이 해외투자를 주로 하는 지역으로는 중국ㆍ인도 등 신흥개도국이 전체의 59.7%로 가장 높았고, 미국이나 일본 등 선진국은 35.8%으로 나타났으며 저개발국은 4.5%에 불과했다. 또한 해외투자를 하는 목적으로는 응답업체의 66.3%가 현지 및 주변국 시장진출을 꼽았고 인건비 등 비용절감이라는 응답은 26.5%, 기술제휴 및 협력은 7.2%였다. 우리 중소기업들은 해외시장 진출과 관련한 애로사항으로 해외시장진출 관련 정보의 부족이 38.3%로 제일 높았으며 현지시장의 각종규제가 28.9%, 환율불안 23.1% 등으로 조사됐다. 일례로 기계류를 제조하는 한 업체는 최근 중동시장에 진출하면서 현지 바이어의 신용도를 확인하지 못해 수출보험에 가입했으나 수출보험의 보장비율이 30%에 불과해 수출해 놓고도 불안해 하고 있다. 이 회사의 대표는 “만약 바이어가 수출대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30%밖에 받지 못하니 수출하는 것이 거의 도박 수준”이라고 말했다. 특히 해외시장 진출과 관련해 중소기업의 정부 지원제도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정부의 지원을 받은 적이 있다는 중소기업은 28.0%에 불과했으며, 이용한 적이 없다는 응답이 72.0%로 응답자 3분의 2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 응답업체의 51.9%는 어떤 지원제도가 있는지 잘 모른다고 답해 지원제도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관심도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또 도움되는 지원제도가 별로 없다는 응답이 29.2%였으며, 지원요건이 너무 까다롭다는 응답은 13.0%였다. 대한상의는 도움되는 지원제도가 별로 없다는 응답과 관련해 현재 시행되는 수출지원 제도를 분석해 본 결과 서비스 업종에 대한 지원제도가 크게 부족했다고 밝혔다. 전체 지원제도 79개 중 37개인 46.8%가 지원대상을 제조업으로 한정하고 있었고, 서비스업종을 지원대상으로 명시한 경우는 12개인 15.2%에 그쳤으며, 나머지 38%인 30개는 업종제한이 없었으나 제조업 위주로 운영되고 있었다. 실제로 경기도 소재 엔지니어링업체는 최근 동남아지역 진출을 위해 소요자금을 조달하려 했으나 은행은 담보제공을 요구하고, 정부지원기관은 지원대상업종이 아니라는 이유로 거절당했다고 한다. 한편 지원제도 이용경험이 있는 업체들은 어떤 지원제도의 활용효과가 가장 컸느냐는 설문에 대해 해외전시회, 시장개척단 등 해외마케팅 지원이 50.0%를 차지했고 수출ㆍ해외투자 관련 금융지원 27.4%, 국가별 투자환경, 바이어 알선 등 정보제공 14.3% 순으로 꼽았다. 김영도 기자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상의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