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재난으로 인한 문화재 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재난위험지도가 개발된다.
문화재청(청장 김찬)은 지난 26일 문화재 훼손의 요인인 재난피해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각종 재난과 문화재 관리 상태를 과학적 지표로 분석ㆍ정리한 문화재 재난위험지도를 올해부터 2015년까지 연차적으로 개발한다고 밝혔다. 문화재 재난위험지도는 각종 재난정보와 문화재 관리상태, 속성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위험을 지수화해 개별 문화재의 재난위험 정도와 관리상태를 한 눈에 알 수 있도록 한 GIS(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을 지도상에 시각화한 것이다. 이에따라 문화재청은 오는 2015년까지 총 7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재난발생통계, 발생 가능정보, 실시간 기상정보, 지형 및 산림환경 등을 분석한 재난위험지도를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수정ㆍ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문화재는 특성상 한번 손상되면 회복이 불가능하여 사후복구가 아닌 사전예방 관리방안 마련이 절실하다”며 “문화재 재난위험지도가 문화재보호와 예방관리대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하나 기자 andan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