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붙박이장, 방염 상태 따라 위험 차이 커… “아파트도 방염처리 의무화해야”

한국소방산업협회, 주택모형 컨테이너서 방염ㆍ비방염 실화재 공개 실험
5분 만에 크게 번진 비방염 가구와 달리 방염 가구는 그을린 수준에 그쳐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5/09/10 [10:19]

붙박이장, 방염 상태 따라 위험 차이 커… “아파트도 방염처리 의무화해야”

한국소방산업협회, 주택모형 컨테이너서 방염ㆍ비방염 실화재 공개 실험
5분 만에 크게 번진 비방염 가구와 달리 방염 가구는 그을린 수준에 그쳐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5/09/10 [10:19]

▲ 한국건설방재시험연구원에서 한국소방산업협회가 주관한 ‘방염처리 물품의 화재확산 억제 효과 측정 실화재 실험’이 진행됐다.  © 박준호 기자

 

[FPN 박준호 기자] = 화염 착화와 확산을 지연시키는 ‘방염’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공개 실험에서 방염처리 여부에 따라 화재안전성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주)한국건설방재시험연구원에서 (사)한국소방산업협회가 주관한 ‘방염처리 물품의 화재확산 억제 효과 측정 실화재 실험’이 진행됐다.

 

이 자리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박정현 의원실(더불어민주당) 보좌진과 윤성근 경기도의원, 홍영근 소방청 화재예방국장, 소방 관련 산ㆍ학ㆍ연 관계자 등 7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실험은 최근 연이어 발생한 아파트 화재사고 후 소방산업계와 정치권 등에서 실내 가구류의 방염처리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서며 마련됐다. 이날 실험에선 실내가구 방염처리가 실질적인 피해 최소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했다. 

 

현행법상 11층 이상 건축물의 커튼과 카펫, 벽지 등은 방염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아파트와 고정식 가구(붙박이장)는 방염 대상에서 빠져있다. 아파트는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공간인 데다 처음부터 다양한 붙박이장이 부착된 채로 지어진다. 인명과 재산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이 같은 아파트 가구류에 대한 방염처리 의무화가 필수라는 게 한국소방산업협회 주장이다.

 

이날 실험은 방염, 비방염 붙박이장을 각각 설치한 주택모형 컨테이너(가로 4m × 세로 3m × 높이 2.4m)에 동시에 불을 붙여 연소 확대 양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실험 결과 비방염 붙박이장 가구는 착화 2분 만에 화염에 의해 탈락하고 4분 30초부턴 수평으로 확산하기 시작했다. 5분이 지나자 천장 쪽으로 번지며 짙은 연기를 거세게 내뿜었다. 

 

반면 방염처리 가구는 7분간의 실험 동안 주변이 검게 그을린 정도에 그쳤다. 비방염 가구와 달리 화염 확산이나 연기도 적게 발생했다.

 

방염 효과는 과거 여러 번의 실험에서도 검증된 바 있다. 지난 2021년 국립소방연구원 실험 결과 방염처리 물품은 최고온도가 120.5℃에 그쳤다. 반면 비방염 물품은 최고온도가 무려 732.7℃까지 도달했다.

 

이종인 한국소방산업협회 부회장은 “방염처리 제품이 화재 지연효과가 확연히 있다는 게 이번 실험에서도 입증됐다”며 “특히 거주자가 신속히 대피하기 위해선 아파트에도 방염처리를 하도록 하는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