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 고시원 화재안전 대책 추진한다지난달 2명 숨진 영등포 고시원 화재 후속 조치
|
![]() ▲ 지난 4월 11일 화재가 발생한 서울 영등포의 고시원 건물 ©FPN |
[FPN 박준호 기자] = 소방청(청장 이흥교)이 지난달 2명이 사망한 영등포 고시원 화재 사고의 후속 조치로 화재안전관리 강화 대책을 추진한다.
숙박형 다중이용업소인 고시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숙식을 해결할 수 있어 주로 취약계층의 주거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피난경로가 좁고 복잡해 화재 시 인명피해로 이어질 우려가 높다.
소방청에 따르면 최근 5년(’17~’21년)간 고시원에서 243건 불이 나 9명이 사망했다. 이는 전체 다중이용업소 사망자(17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다.
고시원 화재가 지속해서 발생하자 소방청은 지난달 27일 전국 시ㆍ도 소방본부 화재예방과장이 참석한 가운데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고시원 대상 화재안전관리 강화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주요 내용은 ▲노후 소방시설 특별조사(표본조사)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 고시원 화재위험평가 실시 ▲업주 및 종업원 소방안전 교육 실무중심 개편 ▲숙박형 다중이용업소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설치 지원사업 안내ㆍ독려 등이다.
소방청은 2018년 11월 9일 발생한 국일고시원 화재 이후 숙박형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간이스프링클러 소급 설치지원 사업을 진행 중이다. 현재 1513개소 가운데 90.4%인 1368개소가 설치를 완료했고 미설치 고시원은 오는 6월까지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황기석 화재예방국장은 “고시원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선 제도개선은 물론 영업주와 종업원의 자율적인 점검과 안전조치가 중요하다”며 “관계인이 분기별로 실시하는 정기점검에 책임감을 갖고 내실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