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봄철 대형산불 막기 위해 정부ㆍ지자체 힘 합친다

소방청 등 15개 관계기관ㆍ17개 시도 긴밀히 협조해 산불 대비 총력

광고
박준호 기자 | 기사입력 2024/04/04 [13:18]

봄철 대형산불 막기 위해 정부ㆍ지자체 힘 합친다

소방청 등 15개 관계기관ㆍ17개 시도 긴밀히 협조해 산불 대비 총력

박준호 기자 | 입력 : 2024/04/04 [13:18]

▲ 4일 경기도 포천시 신읍동의 한 야산에서 불이 나 대원들이 진화활동을 하고 있다.  © 산림청 제공


[FPN 박준호 기자] = 정부가 봄철 기간 대형산불 방지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발생한 대형산불 32건 중 4월에 발생한 산불은 43.8%(14건)를 차지했다.

 

4월은 건조한 대기와 강한 바람이 많이 분다. 또 농사 준비를 위해 논ㆍ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을 태우는 불법 소각행위로 산불 발생위험이 커져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산림청, 소방청 등 15개 관계기관, 17개 시도와 긴밀히 협조해 봄철 산불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달 26일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해 기관별 봄철 산불 대책을 종합 점검했다.

 

산불 위험지역에 대한 주민대피계획을 점검했고 산불이 시ㆍ군ㆍ구 자원으로 진화가 어려운 경우 관계기관 간 적극 협력해 신속하게 진화자원을 동원ㆍ진화하도록 했다.

 

또 산불의 주요 원인인 소각산불에 대해선 가용 인력과 자원을 총동원해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이장단, 자율방재단 등 민간과 협력해 마을 단위로 대면 홍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지자체는 불법 소각 단속반을 운영해 입산통제구역과 산불취약지역 등을 중심으로 단속ㆍ예방 활동을 강화하고 드론ㆍ감시카메라 등 가용 가능한 장비를 총동원해 감시 활동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봄철엔 건조한 날씨와 강한 바람으로 대형산불 발생위험이 높은 만큼 정부는 대형산불을 방지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철저히 대응해 나가겠다”며 “국민께선 산림이나 산과 가까운 곳에서 불법 소각행위를 삼가하고 영농부산물의 안전한 처리를 위해 지원하는 마을 순회 영농부산물 수거ㆍ파쇄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편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 지역에서 쓰레기나 영농부산물을 태우다 적발되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실수로 산불을 낸 경우라도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박준호 기자 parkjh@fpn119.co.kr

광고
포토뉴스
[릴레이 인터뷰] “누군가의 생명을 책임지는 응급구조사, 윤리의식ㆍ책임감 필요”
1/4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