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 풍랑·강풍·건조·안개·해무 등 대처상황 ※ 피해·통제 없음(잠정) - 조치사항: (행안부) 재난 예방 활동 및 상황관리 철저* 지시(NDMS), 산불 예방 주의사항 국민행동요령 안내(재난방송), 산불·화재‧사업장사고·교통사고·선박사고 등 예방활동 철저 지시(NDMS), 동해·남해·제주도 해상 풍랑 예비특보 발표에 따른 해양선박 안전관리 철저 요청(공문, 4.30.) * (풍랑·강풍) 간판 날림 등 2차 피해 방지, 보행자와 교통안전 유의, 해안가 및 갯바위 낚시객 대피 계도 등(건조‧산불) 산림 인접 지역에서 소각 금지, 산불취약지역 감시인력 집중 배치, 산불 예방 홍보 등(안개‧해무) 터널 입‧출구 및 커브길 서행, 선박 충돌 등 해양사고 예방, 해안가 안전사고 대비 홍보 강화 (해경청) 출어선 대상 단문자 발송 등 사전 안전계도 및 위험기상 취약선박 실시간 모니터링 등 안전관리 강화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대처상황 ※ 위기경보 ‘심각’(’19.9.17.~) - 발생현황(5.1.): 양돈 및 야생 멧돼지 발생 없음 ※ 확진(누계): 양돈40건(경기18, 강원16, 인천5, 경북 1),야생 멧돼지4,020건(강원1,913, 경북918, 경기674, 충북490, 부산 25)
▲ GPS 전파혼신 발생 대처상황 ※ 위기경보 ‘주의’(4.25.16:30~)/피해없음(잠정) - 발생개요: 4.2.~22., 인천(연평·강화), 경기(파주‧연천)지역 GPS 전파 혼신 발생 GPS 수신 장애 신고 현황(5.1.): 없음 ※ 신고현황(누계): 71건(4.2.22, 4.7.47, 4.10.1, 4.22.1) - 조치사항: (과기부, 행안부 등) GPS 전파혼신 발생 및 피해 모니터링 등
▲ 주요 사고 - (화재) 14:34경/경기 평택시 세교동/복합건축물(8/2층, 16,860㎡) 4층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완진 16:07)/건물 4층 일부(30㎡) 소실 등 ※ 인명피해 없음(단순 연기흡입 1명), 자력 대피 63명 / 소방 대응 1단계(14:38~15:12) - (사업장사고) 10:34경/경남 김해시 안동/식품 사업장에서 작업자가 제품 운반을 위해 화물용 리프트 출입구에 접근 중 추락(2층 높이)/사망 1명
▲ 재난안전 예방활동 등 - (행안부) 소방 골든타임 확보 위한 데이터 분석모델 개발 및 현장 활용 행정안전부는 소방출동 여건 개선을 위해 「소방출동 골든타임 지역특성 분석 모델」개발 완료 - 출동유형별 출동지연 요인 분석 및 화재출동 골든타임 지수 개발 - 소방청과 협업을 통해 전국 시·도 확산 추진, 골든타임 사각지대 맞춤형 해소로 인명피해 감소 기대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헬기출동: 9회(산악구조3, 응급환자2, 훈련비행4) / 5명(구조3, 구급2) ❖구급상황관리: 3,793회(의료지도 278, 대국민상담.지도 3,413, 이송병원선정 91, 헬기 5, 재외국민 6) ❖생활안전조치: 704회(동물처리 238, 비화재보확인 123, 잠금장치개방 47, 안전조치 30, 기타 266)
◇ 화재진압 ▲ (자원회수시설) 경기 구리시『○○회수시설』 - 06:33~00:56, 소각장 내 일반쓰레기에서 자연발화 추정 화재, 일반쓰레기 200톤 소실
▲ (창 고) 경기 화성시『단독주택 내 창고』 - 10:34~11:03, 창고에서 전기적 요인(단락) 추정 화재, 창고전소 및 고추건조기 등 소실
▲ (주 택) 강원 홍천군『단독주택』 - 11:51~12:02, 주택에서 부주의(담배꽁초) 추정 화재, 주택 외벽 3㎡, 천장 4㎡ 등 소실
▲ (근생건물) 경기 평택시『○○프라자』 - 14:34~16:07, 병원 내 테라스에서 원인 미상 화재, 내부 30㎡ 및 자재 보관함 등 소실
▲ (영화관) 경북 경주시『○○시네마』 - 17:57~18:06, 극장 내 인적 부주의(관리 부주의) 추정 화재, 좌석 일부 소실
◇ 구조활동 ▲ (안전사고) 경남 김해시『○○식품』 - 10:36~12:39, 2층에서 작업 중 1층으로 추락, 사망 1명
5월 2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안전관리 일일 상황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