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9월 14일 오늘의 안전 상황

광고
소방방재신문 | 기사입력 2025/09/14 [08:52]

9월 14일 오늘의 안전 상황

소방방재신문 | 입력 : 2025/09/14 [08:52]

■ 주요 재난안전 관리상황

 9.12.~9.13.호우대처상황   ※ 초기 대응반(9.12.18:00~), 중대본1단계(9.13. 00:30~15:00)

- 인명피해(15시잠정): 없음※ 일시대피 현황(14시기준): 2개 시‧도 2개 시‧군 3세대 5명 / 미귀가 1세대 3명(충남 태안, 9월 말경 귀가 예정)

- 시설피해(15시잠정): (공공시설) 6건(도로 침수 1(강원), 수목 전도 5(강원4, 전남 1)) (사유시설) 15건(주택‧상가 침수 7(인천 6, 충남 1), 차량화재 1 및 정전 7(경남))

- 통제사항(05시): (국립공원) 3개공원 31개구간(설악산 12, 치악산 12 등)   

- 조치사항: (중대본‧행안부) 중대본부장 지시사항 전파*(공문, 9.13.), 9.12~13일 호우‧강풍대비 및 대처 상황 점검회의(중대본 차장, 9.12, 9.13. / 3회)

      * 밤‧새벽 취약시간대강한비에 따른침수우려시선제적통제,상습침수지역예찰및주민대피만전,하천변‧계곡  야영장등에위험 기상지속안내,위험우려시즉시대피조치,강풍대비시설물안전조치,국민행동요령홍보 등

     - 호우 대비 안전관리 철저(공문, 9.12.) 및 부단체장 등 대상 안전관리 철저 요청(유선), 호우대비국민행동요령안내(재난방송),호우‧풍랑등예방활동등철저(NDMS)

    (산림청) 산사태위기경보‘경계’→ ‘주의’(9.13.,16:00,서울‧인천‧대전‧세종 등 10개 시‧도)(소방청) 호우관련소방활동(14시30분 기준 총 182건: 급·배수 지원 40, 안전조치 142)(경찰청) 재난상황실(대전,충남등 14개관서) 운영, 침수우려지역 순찰 강화 등(지자체) 비상근무,인명피해우려지역(산사태취약지역,급경사지등)예찰 및홍보(재난문자등)

 

 강원 강릉지역 가뭄 대처상황            ※ 호우 특보로 9.13. 운반급수 중단

- 현황(9.13.18시기준): 오봉저수지 저수율14.3(전일2.8%p↑)%(205+40만톤) ※ (위기경보9.12.10시) 저수지11개소(심각 7, 경계4) 경보발령중

- 조치사항:(행안부)강릉가뭄대응관계기관대책회의(재난안전관리본부장,9.8.), 가뭄현장점검및대책회의(대통령8.30./국무총리9.5./장관8.27.), 현장지원반 회의(자연재난실장, 9.10.)

    - 범정부 가뭄 대응 현장지원반 운영(9.1.~), 가뭄 재난 사태 선포(8.30.), 재난관리자원신속지원‧응원요청(공문, 8.30.), 가뭄재난특교세(15억)추가지원(9.12.)  

     (소방청)임시 취수정에 대용량포 방사시스템 투입(9.12.~)

     (지자체)강릉시재대본운영(2단계,8.29.~),제한급수(대수용가123개소,9.6.~),공공체육시설폐쇄(9.4.~),병물배부(일반시민대상,9.4.~), 절수조치(수도계량기75%잠금,9.1.~)등  

 

 폭염 대처상황                    ※ 폭염위기경보 ‘경계’→‘주의’ 하향(9.12.20시)

- 인명피해(9.12.):온열질환자 발생 없음   *질병관리청(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누계(5.20.~9.12.): (’25년) 온열질환 4,383명(사망 30)/ (전년 동기) 3,551명(사망 33) / 조기감시기간(‘25.5.15.~5.19.)15명

       ※ 중대본 해제(9.8.) 및 폭염 위기경보 ’주의‘ 하향(9.12.)에 따라 재산피해는 집계되지 않음(누계(5.20~9.11): 가축피해 1,933,744마리(돼지150,633, 가금1,783,111)/ 양식피해 2,991,127마리)

- 조치사항: (행안부) 폭염에 따른예방활동 및 상황관리철저지시(NDMS)  

       (지자체)비상근무,취약계층 보호활동, 피해저감시설운영(그늘막등)및홍보등

 

▲ 9.14. 일일 전력수급 전망: 안정적

- (전력수요) 피크시간(19~20시)에 최대 69.6GW 예상

- (전력공급) 공급능력95.7GW → 공급예비력26.1GW(37.5%), 운영예비력*9.0GW(13.0%) 

   * 30분 이내 확보 가능한 발전 용량(4.5GW 미만일 경우 ‘관심’ 단계 발령)

 

 조류인플루엔자(AI) 대처상황  ※ 위기경보 ‘관심’(’25.7.31.~)→ ‘주의’ 단계로 상향(9.13~)

- 발생현황(9.13.):  (가금) 1*건(경기 파주) (야생조류) 없음    

      * 경기 파주시 토종닭 농장(4,500수)에서 농장주가 파주시에 신고(9.12.) → H5N1형 확인(9.13.)

     ※ 확진(누계): ‘25년 하절기가금 3+1건(9.13. 경기 1, 6.29.경남1, 6.15.충남1)

- 조치사항: (농식품부·지자체) 발생농장(경기 파주) 초동방역팀 투입‧출입 통제, 일시이동중지명령*(24시간), 살처분 및 매몰처리 완료     

     * 전국 가금농장 및 관련 축산시설 등(9.12. 22시~9.13. 22시)  

   (행안부)지역재난대책본부중심총력대응요청(9.12.,공문),현장상황관리관파견(9.13.)

 

 주요 사고 

- (화재) 9.13. 08:38경/전남 광양시 도이동/폐자재보관창고(5동 11,220㎡)에 적재된 분말(철‧알루미늄 등)에서 화재(진화 중)/재산 피해 조사 중

     ※ 인명피해 없음 / 소방 대응1단계(13:27~, 소방력 확보) / 내부 다량의 분말(3,000톤) 적재로 완진 시까지 장시간 소요 / 재난 문자 송출(13:39) / 자동화재속보설비로 신고 접수

- (사업장사고) 9.13. 11:51경/경남 의령군 의령읍/금속제품 제조공장에서 레일을 이용해 H빔을 옮기는 작업 중 작업자가 레일과 H빔 사이에 끼임/사망 1명(남, 60대)   

- (지진) 9.13. 8:28경/경남 통영시 남남서쪽 36㎞ 해역(발생 깊이 12㎞)에서 규모 2.1 지진 발생,  최대진도 Ⅰ        ※ 유감 및 피해 신고 없음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구 분

화 재

구 조

구 급

생활안전

건 수

사 망

부 상

피해액

(백만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건 수

인 원

일 계

67

0

1

584

845

253

4,352

4,384

1,600

30 

❖헬기출동: 없음

❖구급상황관리: 3705회(의료지도 170, 대국민상담.지도 3478, 이송병원선정 39, 헬기 0, 재외국민 18) 

❖생활안전조치: 1600회(동물처리 228, 비화재보확인 314, 잠금장치개방 56, 안전조치 115, 기타 887) 

 

◇ 화재진압

 (창    고) 전남 광양시『○○○○○ 창고』 

- 08:38~진행 중, 창고에 적재된 분말가루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조사 중

 

 (주    택) 충북 옥천군『동이면 단독주택』 

- 21:03~21:45, 원인 미상의 화재, 경상 1명, 조사 중

 

 (빌    라) 인천 서구『○○빌라』 

- 04:05~04:26, 지하 1층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부상 2명, 조사 중

 

 (근린생활시설) 전남 보성군『근린생활시설 2층』 

- 04:36~05:03, 2층에서 원인 미상의 화재, 부상 2명, 조사 중

 

◇ 구조/구급

 (구급활동) 강원 홍천군『○○빌 3층』 

- 14:26~15:16, 거주자가 욕실 점등 직후 원인 미상의 폭발, 경상 1명, 현장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 (구급활동) 전북 무주읍『반딧불 축제장』 

- 23:15~23:31, 반딧불 축제장에서 칼에 찔렸다는 신고, 중상 1명, 현장 응급처치 및 병원이송

 

9월 14일 06:00 기준

자료 : 행정안전부, 소방청

소방방재신문

광고
릴레이 인터뷰
[릴레이 인터뷰] “적재적소 역량 발휘할 응급구조사 배출 위해 노력”
1/5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