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을 살면서 화재 사고를 겪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예기치 못한 화재 상황에서 소화용수나 소화기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치가 있는데 바로 방화문다.
화재가 발생하면 대부분 소화기를 찾는다. 소화기는 작은 규모의 화재에는 분명 초기 소화에 효과적인 장비다. 하지만 건물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빠르게 연소ㆍ확대되고 배연도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신속한 대피가 가장 안전하고 효율적인 대처법이자 피난법이다. 또 화재 시 연기를 어떻게 제어하는가에 따라 인명피해 여부나 규모가 결정된다.
일정한 규모 이상의 건물을 지을 땐 층별, 면적별, 용도별로 방화구획을 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는 불이 났을 때 화염이 번지는 걸 막아 피해를 줄이기 위함이다. 건축물의 방화구획을 위해선 여러 시설이 설치되지만 그 중에서도 방화문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시설이다.
방화문은 불과 연기의 확산을 차단해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를 줄이고 피난하는 사람들의 소중한 생명을 지켜주는 대단히 중요한 안전시설이다. 그런데도 많은 사람이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출입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고임 장치를 설치해 항상 열어 놓는 일이 다반사다. 이는 쉽게 불이 번지게 하고 연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없게 만든다. 열린 방화문으로 인해 작은 화재가 대형 화재로 이어지면서 많은 재산피해와 소중한 생명까지 피해를 입는 안타까운 화재 현장을 종종 보게 된다.
불이 나면 화염과 연기를 피해 신선한 공기가 있는 안전한 곳으로 피난하게 된다. 이때 출입구에 방화문이 설치돼 있다면 반드시 문을 닫고 대피해야 한다.
‘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말이다. 하지만 이미 화재가 발생했다면 ‘대피할 때 방화문 닫기’를 기억하자. 이러한 행동으로 대형 재산피해를 막을 수 있고 자신의 안전 또한 확보된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성북소방서 소방행정과 소방사 김채운
※ 외부 필자의 기고 및 칼럼 등은 FPN/소방방재신문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