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광고
광고

지역 공무원 및 자원봉사자는 준비된 재난전문가

국가 및 지자체·민간 기관별 공조 체제 마련 시급

광고
손인선 기자 | 기사입력 2006/04/22 [06:26]

지역 공무원 및 자원봉사자는 준비된 재난전문가

국가 및 지자체·민간 기관별 공조 체제 마련 시급

손인선 기자 | 입력 : 2006/04/22 [06:26]

 
각종 재난으로부터 재난대응 정보 체계 구축 및 전문가 육성에 앞장서고 있는 bcp(business continuity program) 협회 정영환 사무총장을 만났다.

▲bcp 협회 정영환 사무총장    

 
이번에 사무총장으로 승격한 정영환 사무총장은 bcp 협회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는 재난·재해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 체계를 구축하고 교육 및 훈련을 통해 재난 관리 전문가를 양성, 기본적인 국민 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협회가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일들이 많다고 말한다.

특히 bcp 협회는 안전한 국가사회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미국 정부 재난관리체제 표준인 nfpa1600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재난관리 표준을 수립·연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사무총장은 “국제재난관리체제의 표준에 기반하여 민간 기업의 재난관리 실태 조사, 재난 및 재해의 정의, 위험평가와 재난 및 재해 영향성 평가, 재난저감대책, 자원관리, 교육과 훈련, 점검 절차 등 다양하고 폭넓은 재난 관리 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며 이에 대한 감리 및 평가 활동에도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뿐만 아니라 협회는 재난관리체제의 혁신을 도모할 전문화된 재난관리전문가를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략계획서, 비상대처계획, 저감대책, 복구계획, 업무연속계획으로 이어지는 재난관리계획을 수립 가능하도록 인적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3년부터 협회에서 실시한 국제 bcp 자격시험을 통해 50여명의 국제 자격증 소지자를 배출, 각 분야에서 재난 전문위원으로 국민의 재산 및 인명 보호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현재 bcp 협회는 정책제안기구로서 재난 관리 관련 정책 제안을 제시하고, 재난관리 관련 세미나·간담회·국제행사를 개최하며 제품 및 서비스의 타켓 대상의 프로모션을 기획하는 등 전시컨벤션 사업도 꾸준히 추진 중이다.

정영환 사무총장은 현재의 재난 관리 체계가 관에만 의존하는 한계를 벗어나 민·관의 정보 공유 체계 마련하고 관련 기관과의 공조 체제를 구축하여 재난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담당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사고 현장에 119 구급대원인 출동했을 때에 경찰과는 정보 공유를 하지만 현장에 속한 지자체 관·공무 원및 민간 자원봉사 등의 조직과는 연계해서 사고 수습을 하지 않습니다.
 
이번 호남 폭설 때도 이러한 기관별 공조 체제가 마련되지 않아서 더욱 큰 재난으로 번졌습니다. 재난 현장 근접 거리에서 지역 정보를 훤히 알고 있는 지자체 관·공무원 민간 자원봉사 등의 조직은 일분일초를 다투는 구조·구급 및 사고 수습에 충분히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입니다.
 
효율적이지 못한 정부 일방적인 업무 추진으로 인해 빚어지는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라며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아울러 bcp 협회는 전 세계 재난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아 지식 및 경험을 나누고 재난에 대한 인식 확산 및 교육에 기여하기 위해 소방방재청과 tiems와 함께 제13회 세계재난관리학회를 내달 23일부터 26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한다.

정사무총장은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각 30여 개국의 위기관리 전문가들의 연구논문들이 발표되며, 현재 세계적인 위기관리의 동향에 대하여 논의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국제적인 재난관리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초석을 다지는 계기로 마련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내 재난 관리의 방향을 대외적으로 알리고, 관련 r&d활동 및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며  it를 활용한 u-society 구축의 재난관리의 효율적 방안모색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bcp 협회는 2002년 민간협의체인 bcp포럼으로 시작하여 2004년 소방방재청 산하 비영기리관으로 등록하면서 사단법인 한국비시피협회로 개칭됐으며, 각종 재난으로부터 기업·단체의 정상적인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기술 축적 및 교류 활성화 하여 학계·연구기관·공공기관 등과 상호협력 관계를 유지, 재난 관련 분야 전문가 육성에 노력하고 있다.
 
 
 
 
BCP 협회 관련기사목록
광고
[기획-러닝메이트/KFSI]
[기획-러닝메이트/KFSI] 고객 요구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하는 ‘고객관리과’
1/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