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재난 관리자 및 전문가들이 모인 자리에서 재난 복구가 사태 해결의 측면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생존권 보장 및 질적인 삶 유지 차원에서 복합적 대응 양식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소방방재청(청장 문원경)은 서울내러티브연구소(소장 최남희)와 공동으로 ‘위험시대, 사회적 대응 전문화 모색’ 토론회를 2일 정부중앙청사 19층 대강당에서 열고 사람 중심의 국민안전 시스템 확충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서 황정연 차장은 “생활수준 향상과 웰빙 흐름에 맞춰 안전하게 살 권리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재난의 대형화 추세와 예측이 곤란한 새로운 유형의 재난이 빈발함에 따라 재난관리 수요도 급속하게 늘고 있다”며 “국가재난관리 영역에 획기적인 패러다임 전환으로 예방 중심, 과학 방재, 안전복지개념 등이 도입돼 안전 한국 실현에 다가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사회학회장 임현진 서울대학교 교수는 “이러한 자리를 통해서 재난 관리 영역에 대응 토대 마련 및 다양한 대안 제시돼 국가 시책으로 구체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제기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개청 2주년을 맞이하여 안전한국 실현을 위한 소방방재청의 추진과제 중의 하나인 ‘안전복지’개념이 도입된 국민안전서비스 확충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국가 재난관리의 새로운 2단계 도약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의견들이 심도 깊게 논의됐다. 소방방재청 김진영 재정기획팀장은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재난피해 실태와 분석이’의 주제를 통해 자연재난, 인적재난, 화재, 산불피해, 구조·구급 활동 등의 재난유형별로 피해사례를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정책성과 평가 및 진단을 통해 향후 정책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이어 서울내러티브연구소 최남희 소장은 ‘재난밀착형 재난대응전략’의 주제로 일상에 밀접하며 지속적인 재난관리 측면을 강조하며 사회안전망 복지 시스템의 새로운 역할을 정립함으로써 재난 대응과 이후 피해자들의 건강까지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을 촉구했다. 특히 최소장은 “재난은 사태 해결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의 생존권을 보장하고 질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차원에서 복합적 대응 양식으로 대응해야 하며 이는 주민의 특성 및 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삶의 일환으로 안전 생활을 일상화 할 수 있는 전략으로까지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한국외대 이현송 교수의 ‘미국의 허리케인 카트리나 수해사례를 중심으로 자연재해와 빈곤층의 삶’에 대한 발표와 미국 미조리대 조광수 ‘인간중심의 안전문화 생활화 방안’, 서강대 원용진 ‘위험과 대중매체, 그리고 사회적 소통’ 등에 대한 발표 및 토론으로 이어졌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토대로 예방투자 확대와 재난관리 영역 확대를 통한 안전복지 사회 실현 차원에서 사회학, 심리학 등 사회과학을 원용한 사람중심의 재난후유사후관리 방안들을 적극 발굴, 시책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