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화재 13.3%↓ 인명피해 25.5%↓ 저감소방방재청, ‘10년도 맞춤형 소방정책 실효성 거둬
지난 2009년까지 매해 증가 추세를 보이던 화재 피해가 감소추세로 돌아섰다. 소방방재청(청장 박연수)은 18일 ‘2010년도 전국 화재발생현황 분석 결과’ 발표에서 맞춤형 화재예방ㆍ진압정책을 통해 09년까지 최근 5년간 증가하던 화재발생률을 감소 추세로 전환시켰다고 밝혔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최근 3년과 대비해 지난해 화재가 41,862건(-13.3%/6,415건), 인명피해 1,891명(-25.5%/648명), 재산피해 2,667억원(-9.4%/277억원)으로 각각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건수 감소사유를 살펴보면 방화가 -38.0%(방화의심 -21.6% 562건, 방화 -16.4% 124건)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부주의 -21.5(4,898건), 가스누출 -13.2%(28건)이 뒤를 이었고 인명피해 감소사유는 화학적 요인 -100%(13명), 고통사고 -77.1%(27명), 부주의 -39.1%(34명), 방화의심 -28.9%(11명)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5년 평균 3,488건으로 2.4%(3,488건) 증가하고 있던 방화가 2,674건으로 감소했으며 국가화재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체계적인 원인조사와 방화정보분석, 방화감식질의, 방화특정대상물관리 프로그램 활용 등의 과학적인 조사ㆍ관리체계가 이뤄짐에 따라 이 같은 방화예방 효과를 거뒀다고 소방방재청은 평가했다. 2010년 화재발생 장소는 비주거가 16,388건(39.1%)으로 가장 많았고 주거 10,515건(25,1%), 차량 5,783건(13,8%), 임야 2,209건(5.27%) 순이었으며 화재발생 월별 조사결과는 12월이 4,194건, 1월 4,178건, 11월 4,019건, 2월 3,706건으로 조사돼 겨울철 화재발생빈도가 높았고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6,372건으로 가장 높았다. 소방방재청 박연수 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가경쟁력 중 안전이 가장 기본이며 2011년에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를 줄이는데 모든 소방력을 집중해 적극적인 소방 안전정책을 펼쳐가겠다”고 밝혔다. 박 청장은 또 “화재를 줄이기 위한 정부의 역할은 50%밖에 안된다”며 “국민의 자기책임 실현을 위해서는 정부·시설관리자·이용자 삼자의 각성과 공동 노력이 더욱 절실하다”고 당부했다. 이하나 기자 andante@fpn119.co.kr <저작권자 ⓒ FPN(소방방재신문사ㆍ119플러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많이 본 기사
|